뇌 속의 노화된 미세아교세포를 젊게 되돌려 뇌의 인지기능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뇌 속의 노화된 미세아교세포를 젊게 되돌려 뇌의 인지기능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세아교세포는 뇌에서 신경 퇴행 반응을 일으키는 다양한 독성 물질을 제거하고, 신경 뉴런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치매는 뇌에 독성을 띠는 ‘아밀로이드 베타 플라크’가 과도하게 축적돼 뉴런 사이를 연결하는 시냅스가 사라지면서 나타나는 질병이다. 감각 기관이 받아들인 정보를 전달하는 뉴런 간의 연결이 끊기면서 인지력이 저하되는 것이다. 최근 연구에서는 뇌 속 미세아교세포가 노화되면서 플라크를 먹어 치우는 탐식 기능이 저하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뇌 속 미아교세포의 노화가 신경 염증 및 뇌 인지기능 장애로 이어진다는 것이다.
미세아교세포 역노화를 통한 알츠하이머병 치료 방식을 보여주는 그림./사진=한국연구재단
경희대 김동운 교수, 충남대 뇌과학연구소 신효정 박사 공동 연구팀은 나노입자가 미세아교세포에 높은 효율로 섭취된다는 점에 착안했다. 이를 통해 미세아교세포에 활성 정도를 조절하는 표적 유전체를 전달하는 방법을 개발한 뒤, 알츠하이머 동물 모델에 적용했다.
연구 결과, 나노입자가 전달한 표적 유전체가 세포노화유도인자인 ‘p16ink4a’를 억제함으로써 늙은 미세아교세포가 역노화하는 현상이 관찰됐다. 이를 통해 미세아교세포의 탐식 기능이 향상됐고, 뇌 내 아밀로이드 베타 플라크가 감소함으로써 인지기능 향상으로 이어졌다.
연구 저자 김동운 교수는 “뇌 내 미세아교세포로 약물 또는 유전체 전달 조절 기술의 가능성을 제시했다는데 의의가 있다”며 “앞으로 이를 확장해 뇌혈관장벽 통과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초음파활용 약물 전달 기술 또는 나노입자 특성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국제학술지 ‘분자 신경퇴화(Molecular Neurodegeneration)’에 최근 게재됐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4/04/12/2024041202077.html
'교류의 장 > 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다리미 없을 때, 간단하게 ‘옷 주름’ 펴는 법 (0) | 2024.04.15 |
---|---|
스크랩 "의대증원 사태에 대한 제 의견을 밝힙니다" (0) | 2024.04.14 |
스크랩 '주 52시간' 선언했지만 현실은 주 100시간… 의료계 "정부, 수습책 내놔야" (0) | 2024.04.14 |
스크랩 서울의대 교수들 “남은 시간 얼마 없어… 정부, 논의 장 마련해달라” (0) | 2024.04.14 |
스크랩 과일 물가 폭등에 흠 있는 ‘못난이 과일’ 인기… 푸드 리퍼브 시장 커져 [푸드 트렌드] (0) | 2024.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