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10년 동안 20세 이상 성인 남성·여성 모두에서 비만·복부비만 유병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남성 2명 중 1명은 비만 상태로 심각한 수준이다. 대한비만학회가 발간한 '2023 비만 팩트시트'에 따르면 2021년 기준 성인 전체의 비만 유병률은 38.4%였다. 여성의 경우 2012년 23.4%에서 2021년 27.8%로 비교적 완만히 증가한 반면, 남성의 경우 2012년 37.3%에서 2021년 49.2%로 약 1.3배 증가했다. 2021년 기준 49.2%가 비만 상태니, 남성 2명 중 1명이 비만에 해당하는 셈이다. 성인 비만은 체질량지수(kg/㎡) 25 이상으로 정의한다. 성인의 복부 비만 유병률 역시 최근 10년간 지속적으로 증가했다. 복부비만은 남성은 허리둘레 90cm이상, 여성은 85cm 이상으로 정의한다. 2021년 전체 성인 복부비만 유병률은 24.5%로 나타났는데, 특히 남성의 복부비만 유병률은 10년간 1.5배 증가해 31%에 달했고, 여성의 경우 18.2%의 유병률을 보였다. 비만 전문가들은 남성 비만이 급증한 이유에 대해, 코로나 때 거리두기로 비만이 급증했으며, 비만이 남성에게 더 관대한 사회문화적 측면도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 분석한다. 또한 비만 유병률을 연령별로 보았을 때, 2021년 기준 70대, 30대, 40대 순으로 비만 유병률이 높았다. (20대 30.4%, 30대 41.4%, 40대 41.2%, 50대 39.6%, 60대 40.2%, 70대 41.6%, 80대 이상 35.2%) 최근 10년간 비만 유병률 증가 정도는 20대와 80대에서 약 1.4배 증가해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2021년 기준 복부비만 유병률은 80대, 70대, 60대 순으로 높았다. (20대 15.8%, 30대 25.5%, 40대 25.1%, 50대 24.3%, 60대 28.9%, 70대 36.7%, 80대 37.6%) 복부비만 유병률이 가장 크게 증가한 연령대는 남자와 여자 모두 20대와 30대로 복부비만 유병률이 10년간 1.6~1.7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복부비만은 건강상 매우 위험하다. 성인에서 고혈압, 관절염, 당뇨병 등 발생 위험이 1.6~2.3배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폭음하는 음주 습관과 함께, 기름지고 짠 고열량 안주, 야식, 배달 음식 섭취가 복부비만 증가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복부비만은 간식, 야식, 술과 안주 등을 제한하는 것만으로도 큰 효과를 볼 수 있다. 비타민과 무기질, 식이섬유가 풍부한 채소와 양질의 단백질 식품을 골고루 섭취하고 음식은 달고 짜지 않게 먹는 것도 도움이 된다. 규칙적으로 식사하고 하루 섭취해야 할 열량을 조절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걷기, 달리기와 같은 유산소 운동은 복부 지방을 태우고 심장과 폐의 기능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으며, 아령, 단거리 달리기와 같은 근력운동은 지방 연소뿐 아니라 근육량을 늘려 기초대사율을 높인다. 식습관과 운동·생활 습관을 개선했음에도 체중 감량이 되지 않을 때는 전문가의 상담하에 약물요법을 시작할 수 있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4/02/15/2024021502396.html |
출처: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1군단 원문보기 글쓴이: 니르바나
'질병 > 비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10개 질문에만 답해보면… '음식중독' 여부 알 수 있다 (0) | 2024.02.19 |
---|---|
스크랩 11개월 만에 70kg 뺀 남성… 그가 공개한 다이어트 '핵심 비결'은? (0) | 2024.02.18 |
스크랩 부작용 없는 다이어트 약? '삭센다' 췌장염·갑상선암 위험도 (0) | 2024.02.16 |
스크랩 미자, 6일 만에 복근 만든 비결… 체중은 5kg 감량해 (0) | 2024.02.16 |
스크랩 멜로망스 김민석, 전역 후 ‘25kg’ 폭풍 감량 고백… 비법 뭐였을까? (0) | 2024.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