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눈물로도 안구건조증이 해결되지 않을 땐 점안겔이나 안연고 사용을 고려해볼 수 있다. 점안겔과 안연고에는 눈의 지질층을 보호해 안구건조증을 완화하는 카보머, 라놀린 등의 성분이 들어있다. /클립아트코리아
찬바람에 미세먼지까지 더해지면서 안구건조증으로 괴로움을 호소하는 이들이 늘었다. 대부분의 안구건조증은 인공눈물 사용으로 개선되지만, 그 정도가 심하면 인공눈물 몇 번으론 불편함을 해결하기 힘들다. 오늘도 극심한 안구건조증으로 고통받고 있다면, 점안겔이나 안연고 추가 사용을 고민해보자. 약국에서도 살 수 있는 점안겔과 안연고는 조금 덜 건조한 눈을 얻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눈물 증발 막아 보습 유지… 렌즈는 반드시 빼고 사용해야 점안겔과 안연고는 눈의 지질층을 보호해 안구건조증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다. 카보머, 라놀린 등의 성분이 들어 있어서다. 카보머는 안구 표면에 수용성 필름을 형성해, 눈에서 수분이 증발하는 걸 방지하고 지질층을 보호한다. 라놀린은 지질층을 강화하고, 안구의 수분증발을 차단해 눈을 촉촉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두 제품 모두 사용법은 어렵지 않다. 아래 눈꺼풀을 당겨 약이 늘어갈 공간을 만든 후, 연고를 한 방울 정도 짜 넣으면 된다. 이때 약이 오염되지 않게 용기 끝이 안구나 눈 점막에 닿지 않게 해야 한다. 투약 후엔 눈을 감고 눈 앞머리를 약 1분간 지그시 눌러주고, 약이 골고루 퍼질 수 있게 눈을 깜빡여줘야 한다. 단, 콘택트렌즈를 착용한 상태에선 사용하면 안 된다. 렌즈 오염과 그로 인한 안질환이 발생할 수 있어서다. 콘택트렌즈는 약을 넣고 최소 30분이 지난 후에 착용하는 게 바람직하다. 한편, 점안겔이나 안연고를 사용한 후 일시적으로 시야가 흐려지는 건 자연스러운 일이다. 시야가 다시 뚜렷해질 때까지는 운전이나 기계조작을 하지 않아야 한다. 단, 시야 흐림이 계속되거나 시야 주변부가 어두워지는 ‘터널 시야’ 증상이 나타날 때, 눈 통증이 생길 때, 조명 주변에 후광이 보일 때는 반드시 의사를 찾아야 한다. 점안겔이나 안연고의 부작용일 수 있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4/01/11/2024011102476.html |
출처: 고부내 차가버섯 원문보기 글쓴이: 니르바나
'교류의 장 > 쉬어가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사흘 굶었어요, 국밥 한 그릇만”… 40대 男에 온정 쏟아진 사연 (0) | 2024.01.18 |
---|---|
스크랩 '드라마 볼 에너지가 없다'… 이게 말이야 방구야 (0) | 2024.01.17 |
스크랩 침대 오른쪽이냐, 왼쪽이냐… 눕는 위치로 '성격' 알 수 있다? (0) | 2024.01.15 |
오른쪽으로 누워자면 악몽 더 많이 꾼다? (0) | 2024.01.15 |
스크랩 결혼 후엔 아내가 사랑 더 빨리 식어… 美 연구 결과 (0) | 2024.01.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