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류의 장/게시판

스크랩 1인 가구 1000만 시대… 혼자 있을 때 심장 멈추면, 대처법 있나?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23. 12. 10.

/사진=게티이미지뱅크
1인 가구 1000만 시대가 눈앞이다. 지난 8월, 행정안전부가 공개한 ‘2023 행정안전통계연보’에 따르면 2022년 1인 가구 규모는 972만4256가구로 전체 가구의 41.0%를 차지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혼자 사는 이유는 다양하지만 1인 가구는 공통적인 걱정을 공유한다. 응급의료상황이 발생해 쓰러졌을 때 어떻게 대처할지다.


심근경색이 대표적이다. 심장 근육은 관상동맥이라 불리는 혈관을 통해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받는다. 관상동맥의 직경은 3~4mm로 볼펜 심 굵기 정도에 불과한데 막히면 심근이 괴사하기 시작한다. 60~90분 사이에 뚫어주지 않으면 뇌에 혈류가 공급되지 않아 살아남더라도 평생 장애를 겪을 확률이 크다. 


심근경색은 급성으로 찾아오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러나 여기서 급성이 즉시 의식을 잃고 쓰러진다는 뜻은 아니다. 의식 소실 속도는 관상동맥의 어디가, 얼마나 막혔는지에 따라 다르다. 광범위한 부위가 한 번에 막히면 바로 쓰러지는 경우도 있지만 통계상 대부분의 환자는 30분 가량 흉통을 호소한다. 이때 119에 전화하는 게 중요하다.


심근경색으로 인한 흉통은 대개 한 번도 경험해보지 못 했던 강도로 찾아온다. 극심한 흉통과 함께 왼쪽 어깨로 퍼지는 방사통과 식은땀이 동반된다면 곧바로 119에 전화해야 한다. 단 신체 기능이 저하된 노인은 흉통 없이 구역, 구토 등 소화기 증상만 호소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평소 질환 관리에 주의해야 한다. 


종종 증명되지 않은 응급대처법들 커뮤니티 등 인터넷을 떠돈다. ▲강하게 기침을 반복하거나 ▲소금물을 마셔 전해질을 확보하거나 ▲몸에 상처를 내서 피를 흘린다는 방법 등 이다. 모두 의학적 근거가 없다. 치료 시점을 늦춰 사망 확률을 높일 수 있다.


의학적으로 시도해볼 수 있는 방법은 니트로글리세린 복용이다. 혈관확장제인 니트로글리세린은 협심증 치료에 적용된다. 약효 성분을 빠르게 공급하기 위해 혀 밑에 두는 설하정으로 유통된다. 심근경색 환자에게도 적용할 수 있는 약으로 구급차에서도 상비하고 있다. 다만 처방이 필요한 전문의약품으로 심근경색 가능성이 높은 환자들 외에 일반인이 가지고 있을 가능성은 적다.


1인 가구 구성원이 심근경색으로 인한 생존율을 높이려면 극심한 흉통이 찾아왔을 때 공공장소에서 쓰러지는 게 좋다. 심폐소생술·자동제세동기 등 타인의 도움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 심근경색으로 쓰러진 장소가 자택이었을 때 보다는 공공장소였을 때 생존율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게다가 부정맥에 의해 심근경색을 겪는 젊은 환자들은 제세동기 처치만 받아도 열에 아홉은 살 수 있다. 다만, 이때도 119 신고는 마친 상태여야 한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3/12/07/2023120702613.html
 

출처: 암정복 그날까지 원문보기 글쓴이: 니르바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