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연구진이 고형암에도 적용 가능한 나노입자 항암 백신을 개발했다. /게티이미지뱅크
국내 연구진이 췌장암, 대장암 등 고형암을 포함한 암 치료에 범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나노입자 백신을 개발했다.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은 KAIST 생명과학과 전상용 교수와 신호철 박사과정 및 김유진 박사가 암 연관 섬유아세포(cancer-associated fibroblasts, CAFs)를 표적으로 하여 다양한 암종에서 효능을 보이는 항암 치료용 나노백신 개발에 성공했다고 밝혔다. 암 연관 섬유아세포란 면역저해 환경을 조성해 암의 성장과 전이에 핵심 역할을 수행하는 세포를 말한다.
종양미세환경(tumor microenvironment, TME)은 항암제들의 효능을 제대로 발휘되지 못하게 하는 큰 장벽 중 하나다. 암 연관 섬유아세포(CAFs)는 이러한 종양미세환경을 형성하는 대표적인 세포로서, 면역저해환경을 조성하여 암의 성장과 전이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따라서, CAFs를 표적해 제거하는 전략은 암을 치료하는 좋은 접근이 될 수 있다.
KAIST 연구팀은 CAFs에서 발현하는 대표적인 단백질인 fibroblast activation protein alpha(FAP)에 대해 T세포 면역반응을 일으켜서 CAFs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나노백신을 개발했다. 연구팀은 인실리코(in silico) 모델을 이용해 FAP 단백질에 대한 펩타이드 항원들을 예측했고, 이후 예측된 펩타이드 항원들을 지질나노입자에 도입하여 나노백신 형태로 합성 제조하는 데 성공했다. 인실리코모델은 컴퓨터의 프로그램을 통한 가상실험 모델이다.
연구팀은 개발한 CAFs 표적 나노백신이 생쥐 췌장암 및 대장암 모델에서 암 성장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확인했다. 또한, 해당 나노백신은 암이 폐로 전이되는 것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었다. 나아가, 저분자 항암제인 독소루비신과 병용 투여 시 항암 효능이 향상되었으며 연구진이 개발한 CAFs 나노백신이 항암제의 종양 내 투과를 증가시키는 데 활용될 수 있음을 입증했다.
KAIST 생명과학과 전상용 교수는 “본 연구에서 개발한 CAFs 표적 나노백신은 대부분의 암에 적용할 수 있는 범용 항암 나노백신이며, 특히 CAFs에 의해 만들어진 촘촘한 세포외기질로 인해 항암이 제한적이었던 암종의 항암제 투과율 및 치료 효능을 대폭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CAFs 표적 펩타이드 및 나노백신은 단독 치료용 항암 백신으로 사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기존 항암제와의 병용요법에도 적용이 가능하며 그 활용범위가 높은 기술이다. 본 기술에 대한 특허출원을 마쳤고 추후 개발을 통해 백신의약품으로 개발된다면 경제적 파급력도 클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는 보건복지부 질병중심 중개연구사업(의료수요연계형 중개연구)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고, 나노분야 세계적 권위지인 ACS Nano에 5월 15일 게재됐다.
암 연관 섬유아세포 특이적 백신의 작용 기작/보건산업진흥원 제공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3/06/13/2023061300995.html
'병원 치료 > 항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기적의 항암제 유전자 편집 치료제 시작부터 암초 (0) | 2023.06.21 |
---|---|
스크랩 한미약품, 얀센 항암제 ‘자이티가’ 정조준 … 퍼스트 제네릭확보 (0) | 2023.06.19 |
새로운 항암 프로토콜 개발…뇌신경교종 치료하고 생존율 ↑ (0) | 2023.06.07 |
AZ 항암제, 백금 기반 항암화학요법과 함께 자궁내막암 치료에 효과 (0) | 2023.06.04 |
면역치료-항암화학요법 병용 치료로 폐암 생존기간 늘려 (0) | 2023.05.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