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활 (사진=한국한의학연구원 제공)
[메디컬투데이=이재혁 기자] 국내 연구진에 의해 한약재 강활의 혈당조절 효능이 규명됐다.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자원연구센터 이준 박사 연구팀이 가천대학교 한의과 대학 강기성 교수 연구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한약재 강활에서 추출한 특정성분이 인슐린 분비를 촉진시켜 혈당을 조절한다는 것을 밝혀냈다고 30일 밝혔다.
강활은 우리나라, 중국, 일본 등 동아시아 지역에서 널리 사용 하는 전통약재로 혈액순환 개선, 통증완화, 면역강화 등에 사용해 왔다.
다만, 최근까지도 강활의 여러 학명이 혼오용되는 등 분류학적인 문제가 있었다. 연구에 사용된 약재의 부정확한 학명 기재는 성분·효능·독성 등 결과의 신뢰성과 후속 연구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이에 연구팀은 분류학적으로 명확히 식별된 국내 자생 강활의 성분을 분석하고, 효능을 검증해, 이를 통해 국내산 강활의 특성을 새롭게 정립하는 연구를 진행했다.
먼저 국내 자생 강활로부터 총 31종의 단일성분을 분리·분석하고, 그중 3종의 신규물질(new compound)에 대한 분자구조를 명확히 규명했다.
이어 분석한 31종 단일성분 중에서도 특히 마르메시닌(Marmesinin) 성분이 가장 강한 항당뇨 효과를 보였다.
이 성분에서 췌장의 베타(β)세포를 자극, 인슐린 분비를 촉진 시키고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하는 작용기전까지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잘 알려진 기존 당뇨병 치료제 글리클라지드(gliclazide) 보다도 우수한 것으로, 동일 농도에서 기존 치료제보다 2배 더 인슐린 분비를 촉진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국내산 강활의 특성을 정립하고, 국제적으로 인정받을 수 있는 성분과 효능의 기준을 제시할 수 있었다.
연구책임자 이준 박사는 “이번 연구성과는 그동안 논란이 됐던 국내산 강활의 특성이 국제적으로 공인받을 수 있는 기준을 제시했다는 데 큰 의미가 있다”며 “앞으로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 한약자원을 활용한 새로운 당뇨병 치료제 개발에 힘쓰겠다”라는 계획을 밝혔다.
한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한의학연구원 기본사업의 지원 및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이번 연구의 성과는 국제전문학술지인 ‘Pharmaceutics’ (IF 6.525, Q1)에 2023년 4월 13일 게재됐다.
메디컬투데이 이재혁 dlwogur93@mdtoday.co.kr
- * Copyright ⓒ 메디컬투데이 All Rights Reserved.
- * 본 기사의 내용은 메디컬투데이 언론사에서 제공한 기사이며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관련 문의는 해당 언론사에 연락부탁드립니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news/dailynews_view.jsp?mn_idx=493192
'교류의 장 > 꽃, 무명초, 야생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손이 타는 듯한 느낌"… ‘이 식물’ 만진 후 화상 입은 여성 (0) | 2023.06.14 |
---|---|
'이 식물' 키우면, 실내 공기 발암물질 97% 제거 (0) | 2023.06.05 |
민물해면 공생 방선균 추출 '페닐알라닌 유도체'의 항암 효과 확인 (0) | 2023.05.30 |
스크랩 보기에 좋은데 건강에도 좋아… 장미의 효능 (0) | 2023.05.20 |
스크랩 마약용 ‘양귀비’ 연이어 적발… 관상용도 있다는데, 차이점은? (0) | 2023.05.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