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물해면 (사진=환경부 제공)
[메디컬투데이=이재혁 기자] 환경부 산하 국립낙동강생물자원관은 민물해면에 공생하는 방선균에서 추출한 ‘페닐알라닌 유도체’가 항암, 항균 및 항염 효과가 있음을 최근 확인했다고 28일 밝혔다.
페닐알라닌은 필수 아미노산의 하나로 달걀, 우유 등의 단백질에 2~3% 들어 있다.
동의보감에서는 민물해면을 말린 것을 ‘자초화’라고 부르며 비뇨기과 질환 개선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연구진은 민물해면이 예로부터 약재로 사용되고 있다는 점과 바다해면의 생리활성이 공생 방선균에서 생산된 물질에 의한 것이라는 점에 착안해, 국내 민물해면에 공생하는 방선균 연구를 2019년부터 최근까지 수행했다.
그 결과, 방선균에서 발견된 ‘페닐알라닌 유도체’의 화학 구조식을 밝혀냈으며, 이 신규 화합물을 전립선암과 유방암 세포에 처리했을 때 높은 생장 억제 효과를 보이는 것을 확인했다.
아울러 식중독 균주에 대한 항균 효과 및 항염 효과도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민물해면의 약제 효과와도 비슷하다.
연구진은 이번 결과를 바탕으로 올해 3월에 특허 출원을 마쳤다. 출원한 신규 화합물은 인체 필수아미노산인 페닐알라닌과 구조가 유사해 식품 및 의약외품, 화장품 등의 소재로 활용될 가능성이 크다.
정남일 미생물연구실장은 “이번에 발견한 ‘페닐알라닌 유도체’가 기능성 소재로 활용될 수 있도록 후속 연구에 매진하겠다”고 말했다.
메디컬투데이 이재혁 dlwogur93@mdtoday.co.kr
- * Copyright ⓒ 메디컬투데이 All Rights Reserved.
- * 본 기사의 내용은 메디컬투데이 언론사에서 제공한 기사이며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관련 문의는 해당 언론사에 연락부탁드립니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news/dailynews_view.jsp?mn_idx=493135
'교류의 장 > 꽃, 무명초, 야생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 식물' 키우면, 실내 공기 발암물질 97% 제거 (0) | 2023.06.05 |
---|---|
한의학연, 한약재 강활의 혈당조절 효능 규명 (0) | 2023.06.01 |
스크랩 보기에 좋은데 건강에도 좋아… 장미의 효능 (0) | 2023.05.20 |
스크랩 마약용 ‘양귀비’ 연이어 적발… 관상용도 있다는데, 차이점은? (0) | 2023.05.19 |
국립산림과학원, 복령 균사체의 뼈 형성 증진과 뼈 흡수 억제 조절 메커니즘 구명 (0) | 2023.05.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