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메디칼업저버
[메디칼업저버 박선재 기자] 난소암 1차 유지요법으로 자리를 굳히고 있는 아스트라제네카 린파자(성분명 올라파립)가 수술 전 보조요법에도 임상 혜택을 보인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연구 결과, 연구에 참여한 모든 환자가 린파자 2사이클을 투여받는 프로그램을 완료했고, 린파자를 투여받은 후 수술을 한 환자 93%에서 종양 크기 감소를 달성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3월 25~28일 미국 플로리다 템파에서 열린 미국여성암종양학회(SGO 2023) 연례학술대회에서 공개됐다.
미국 엠디앤더슨암센터 Shannon N. Westin 교수 연구팀은 난소상피암, 복막 또는 나팔관암 환자를 대상으로 린파자를 수술 전 보조요법으로 투여하는 단일군, 오픈라벨 파일럿 임상시험을 진행했다.
연구에 참여한 환자들은 BRCA1 및 BRCA2, RAD51C 또는 PALB2 등의 생식세포변이(germline mutation)가 있었다. 중앙값 연령은 56세, 병기는 40%가 4기인 상태였다.
연구팀은 15명의 난소암 환자를 대상으로 하루에 두 번 경구로 린파자(300mg)를 투여하는 항암화학요법을 2사이클 진행하고, 이후 영상 촬영을 해 종양 상태를 파악했다.
질병 진행이 되지 않는 환자에겐 종양감소수술(tumor reductive surgery,TRS)을, 수술이 불가능하거나 암이 진행되는 것으로 간주되는 환자에게는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했다.
1차 목표점은 허용할 수 없는 독성이나, 질병 진행 없이 린파자를 처방할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였다.
1차 유지요법 이어 수술 전 보조요법에도 도전
연구 결과, 독성 평가는 15명 모두 가능했고, 반응 평가는 13명만 가능했다. 또 15명 중 83% 환자가 보조요법 이후 수술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보조요법 후 수술을 한 환자 14명 중 12명의 환자가 최적의 아웃컴(no gross residual)을 달성했고, 2명은 1cm 이하 잔존 종양이라는 목표를 달성했다.
특히 병리학적 완전반응(CR) 1명(8%), 부분반응(CR) 7명(53.8%), 질병안정 6명(46.2%), 질병이 진행한 환자는 없었다. 또 93% 환자는 난소암의 바이오마커인 CA-125 수치가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다.
추적관찰 기간은 11.7개월(중앙값), 무진행생존기간(PFS)는 아직 숙성되지 않은 상태다.
임상시험 중 나타난 부작용은 복부통증, 변비, 빈혈, 오심, 통증 등이었다. 특히 빈혈이 발생한 환자 3명에게서 3/4 등급 부작용이 보고됐다.
Westin 교수는 "린파자는 난소암 1차 유지요법으로 절대적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바이오마커가 분명한 환자에게서는 더욱 그렇다"며 "이번 연구 결과로 난소암 수술 전 보조요법으로도 고려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메디칼업저버 박선재 기자 sunjaepark@monews.co.kr
- * Copyright ⓒ 메디칼업저버 All Rights Reserved.
- * 본 기사의 내용은 메디칼업저버 언론사에서 제공한 기사이며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관련 문의는 해당 언론사에 연락부탁드립니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news/dailynews_view.jsp?mn_idx=489307
'종류별 암 > 여성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폐경 이후 찾아오는 난소암, 젊다고 방심은 금물” (0) | 2023.05.05 |
---|---|
스크랩 제줄라, 난소암 1차 유지요법서 용량조절 관계없이 임상적 유용성 확인 (0) | 2023.04.26 |
자궁내막암 치료 패러다임 바꿀 젬퍼리와 키트루다 (0) | 2023.04.13 |
PARP 억제제, 난소암 유지요법서 엇갈린 '희비' (0) | 2023.04.07 |
자궁경부암, 여성의 ‘이것’과 관련 있어 (0) | 2023.03.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