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류의 장/쉬어가기

술 냄새 오래 나는 사람, ‘이곳’ 망가졌다는 신호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23. 2. 27.

술 냄새는 간의 대사 능력이 떨어져서 생긴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음주 후 유독 술 냄새가 많이 나고 오래 가는 사람이 있다. 심한 경우 다음 날까지도 술 냄새를 풍기곤 한다. 간에서 보내는 이상 신호일 수 있다.

◇간 대사 능력 떨어져
술 냄새는 간의 대사 능력이 떨어져서 생긴다. 알코올이 체내에 들어오면 간에서 처리해야 한다. 하지만 지나치게 많은 양을 먹었거나 음주 빈도가 잦다면 간에서 전부 처리하지 못한다. 이때 남은 알코올은 폐에서 내뱉는 숨으로, 피부에서는 땀샘으로 배출되는데, 이 과정에서 술 냄새가 발생하는 것이다. 특히 간경화·간부전 등을 앓는 환자는 정상인보다 간의 대사 능력이 떨어진 상태로, 술 냄새가 심하게 날 수 있다.

선천적으로 알코올 분해효소가 적어 분해 능력이 떨어지는 사람도 술 냄새가 심할 수 있다. 몸속에 알코올 분해효소가 적으면 술 냄새가 심하고 오래가는 것은 물론, 술만 마시면 얼굴이 심하게 붉어진다. 이 같은 사람은 술을 최대한 마시지 말아야 한다.

◇간 질환으로 이어져
음주로 인해 간 대사 능력이 떨어지면 간경화·간부전 등 간 질환으로 이어질 수 있다. 장기간 술을 많이 마시면 손상된 간세포가 재생되지 못한 채 일 해, 알코올성 간염, 간이 딱딱하게 굳는 간경변증(간경화), 간암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양과 빈도 줄여야
따라서 간 건강을 위해서는 술을 마시지 않는 것이 최선이다. 쉽게 끊을 수 없다면 마시는 양과 빈도수라도 줄여야 한다. 술자리에서는 물을 자주 마시고, 이야기를 많이 해 술 마시는 간격을 늘리는 것이 혈액 속 알코올 농도를 낮추는 데 도움이 된다. 술안주로는 저지방 고단백 음식이 좋다. 뇌·신경세포에 도달하는 알코올 양을 줄이고, 알코올 체내 흡수 속도를 늦춰준다.

◇부추와 사과 챙겨 먹어야
평소 간 건강에 도움을 주는 음식을 먹는 것도 좋다. 사과 속 펙틴은 소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독소의 배출을 도와 간의 해독작용 부담을 덜어준다. 사과에 풍부한 플라보노이드 성분은 담즙 생산에도 도움을 준다. 특히 플라보노이드는 사과 껍질에 많이 들어있으므로 깨끗이 씻어 껍질째 섭취하길 권한다.

양배추의 글루코시놀레이트 성분은 비타민C 등과 함께 해독 작용을 해 간의 독소 배출을 돕는다. 미국 일리노이대 연구에 따르면 배춧과 채소는 간의 독소 배출뿐 아니라 지방 흡수를 줄여 지방간을 막는 데도 도움을 준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3/02/23/2023022301839.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