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반 건강상식/일반 건강상식

거울 잘 보세요… 얼굴 색깔로 ‘지병’ 알 수 있어요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23. 2. 27.

흔히 호르몬이 감소하는 폐경기 여성들에게서 얼굴이 붉어지는 안면홍조가 나타난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얼굴색 변화를 통해 건강상태를 유추해볼 수 있다. 몇몇 얼굴색은 특정 질환과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 무엇일까?

◇붉은 얼굴=폐경기, 심장질환
흔히 여성호르몬이 감소하는 폐경기 여성들에게서 얼굴이 붉어지는 안면홍조가 나타난다. 그런데 정도가 심할 경우, 심장질환을 의심해볼 수 있다. 심장이 안 좋을 경우 혈관의 수축 기능이 떨어져 얼굴이 붉어진다. 안면홍조가 있는 여성이 그렇지 않은 여성보다 협심증, 심근경색 등 심장병 위험이 2배 이상 높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누런 얼굴=간 질환, 빈혈
간 질환이 있으면 얼굴이 노래질 수 있다. 간 기능이 저하되면 몸속에 빌리루빈 성분이 쌓이는데 이 색소가 피부에 침착되면서 얼굴이 노랗게 변한다. 이때, 피부 뿐 아니라 눈의 흰자까지 노랗게 변하기도 한다. 빈혈로 몸의 핏기가 빠져나가도 얼굴이 노랗게 변한다. 이외에 당근, 귤, 호박 등 베타카로틴 성분이 많은 음식을 섭취했을 때도 얼굴색이 노래지는 카로틴혈증이 나타난다. 카로틴혈증이 있으면 광대뼈 주위, 손, 발바닥 등이 한정적으로 노래지며 간, 빈혈 등이 있는 경우 얼굴과 몸이 전체적으로 노랗게 변한다.

◇검고 칙칙한 얼굴=흡연, 신장 질환
흡연을 오래한 경우, 피부 미세혈관의 혈액순환이 잘 안 돼 얼굴색이 검고 칙칙해진다. 담배 속 니코틴이 혈관을 수축시켜 피부 세포에 혈액이 원활히 공급되지 않고 재생 능력이 떨어지기 때문이다. 이외에 신장 질환으로 신장 기능이 떨어져 몸속 노폐물이 잘 배출되지 않을 때도 얼굴이 검은 빛을 띤다.

◇창백한 얼굴=기립성 저혈압, 말초 신경병증
기립성 저혈압, 말초신경병증 등의 질환이 있으면 얼굴이 창백해질 수 있다. 이 질환들이 있는 경우,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의 균형이 깨지고 교감신경이 활성화된다. 교감신경이 지나치게 활성화되면 혈관이 수축하면서 얼굴이 창백해진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3/02/22/2023022201184.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