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립아트코리아 제공
비타민 B1 섭취가 적으면 오래 잘 가능성이 1.5배 높아진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특히 평소 술을 많이 마시는 사람이 비타민 B1을 적게 섭취하면 과다 수면 가능성이 더 커졌다.
연세대 의대 정선재 교수팀(예방의학)이 2012~2016년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참여한 성인(19~64세) 남녀 1만5384명을 대상으로 비타민 B1 섭취와 수면의 상관성을 분석했다.
정 교수팀은 연구 대상을 각자의 수면시간에 따라 짧은 수면 그룹(하루 7시간 미만 수면)·정상 수면 그룹(하루 7∼8시간 수면)·긴 수면 그룹(하루 8시간 초과 수면) 등 세 그룹으로 나눴다. 전체 성인 중 짧은 수면 그룹의 비율은 40%, 긴 수면 그룹 비율은 9%였다.
정 교수팀은 연구 대상을 개별 하루 비타민 B1 섭취량에 따라 네 그룹으로 분류했다.
비타민 B1의 중간 섭취량이 가장 많은 그룹(Q4)은 하루에 2㎎을 섭취했고 다음 그룹 각각 1.8㎎·1.7㎎·1.5㎎을 섭취했다. 네 그룹 모두 비타민 B1의 하루 최소 섭취량인 약 1㎎보다는 섭취량이 많았다.
긴 수면 가능성은 비타민 B1을 가장 많이 섭취한 그룹보다 두 번째로 많이 섭취한 그룹이 1.1배, 세 번째로 많이 섭취한 그룹이 1.2배, 비타민 B1을 가장 적게 섭취한 그룹이 1.5배 높았다.
정 교수팀은 논문에서 “비타민 B1을 적게 섭취하면 긴 수면을 할 가능성이 컸다”며 “특히 알코올 섭취가 많은 성인에서 이런 경향은 더 두드러졌다”고 했다.
비타민 B1의 섭취가 가장 적으면서 고위험 음주자이면 긴 수면 가능성이 1.8배에 달했다.
정 교수팀은 논문에서 “비타민 B1은 세포 내 에너지원인 ATP 생산을 위한 보조 효소”이며 “음주가 잦으면 비타민 B1 대사를 방해할 수 있다”고 했다.
한편 비타민 B군의 일종으로 수용성 비타민인 비타민 B1(티아민)의 섭취가 부족하면 각기병 등 건강상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밀·쌀과 같은 작물에 풍부하지만 제분하면 그 양이 많이 감소한다. 우리나라 성인의 38.4%가 2020년 추정된 평균 요구량보다 비타민 B1 소비가 적다는 연구결과도 나와 있다. 이 연구결과는 예방의학회지 최근호에 실렸으며, 한국식품커뮤니케이션포럼(KOFRUM)에 소개됐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3/02/20/2023022001985.html
'일반 건강상식 > 일반 건강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 냄새 심한 사람이 의심해봐야 할 ‘의외의’ 질환 (0) | 2023.02.26 |
---|---|
깔창 넣는 사람, 귀가 후 ‘이 물’로 발 씻으세요 (0) | 2023.02.26 |
담배 피우고 비흡연자 옆에 가면 안 되는 이유 (0) | 2023.02.25 |
아무것도 없는데 이물감 느껴지는 눈… ‘이것’ 때문 (0) | 2023.02.24 |
팔꿈치, 겨드랑이, 사타구니가 유독 검은 이유 (0) | 2023.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