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산하 국립환경과학원에서 국민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과학적 환경 관리 로드맵을 공개했다. 사진은 국가미세먼지 첨단감시센터 조감도./사진=환경부 제공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이 ‘과학적인 연구로 더 나은 환경, 더 높은 삶의 질 실현’이란 비전의 2023년 주요 업무계획을 21일 공개했다. 국립환경과학원은 올해 ▲지속 가능한 미래 지향 ▲국민의 쾌적한 삶 지원 ▲국민 건강과 안전 보호 ▲탄탄한 연구기반 구축 등 4대 핵심과제에 관한 과학적 연구로 환경정책 수립의 토대를 마련할 예정이다.
‘지속 가능한 미래 지향’ 분야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관측, 검증하는 체계를 구축해 한국이 국제 온실가스 배출 기준을 준수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게 골자다. 이에 도심 지역 온실가스 관측소를 2024년까지 11개소로, 2025년까지 106개소로 확충하겠다는 로드맵이 제시됐다. 탄소배출량이 많은 제품에 부여하는 관세인 ‘탄소 국경세’ 도입에 국내 기업이 대비할 수 있도록, 기술지원 전담반을 구성해 제품 탄소배출량 산정·검증 안내서도 개발할 예정이다.
‘국민의 쾌적한 삶 지원’ 분야에선 미세먼지와 녹조 등 대기·수질 오염 물질을 감시하는 ‘지능형 감시체계’를 구축할 전망이다. 드론과 광학측정 장비 등 첨단 장비로 대기질을 원격 측정하고, 이를 인공지능 활용 빅데이터로 분석하는 국가미세먼지 첨단감시센터가 그 기반이다. 현재로선 수도권에 한해 고농도(일 평균 50㎍/㎥ 초과) 초미세먼지 발생을 이틀 전에 예보하고 있으나, 올해 11월까지 충청과 호남으로 조기 예보 권역을 확대할 예정도 있다.
이외에도 ‘국민 건강과 안전 보호’를 위해 한국형 환경보건 서비스를 시작할 예정이다. 산업단지, 발전소, 폐금속 광산 등에서 배출되는 환경 유해인자 조사를 강화하고, 독성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인체 유해 물질 관리에 나선다. 가습기 살균제와 질환 간 역학적 상관관계에 관한 보고서를 발간하고, 피해자가 앓는 질환에 관해 역학, 독성학, 임상학 등 다학제적 연구를 확대하겠단 계획도 있다. 또한, 올해 안으로 ▲충북권 대기환경연구소 ▲매리 수질측정센터 ▲실내환경 융합실증 시험동 등 다양한 연구시설을 개소해 ‘탄탄한 환경연구 기반 구축’을 달성할 전망이다.
김동진 국립환경과학원장은 “과학적인 연구를 통해 탄소 중립을 달성하고, 깨끗하고 안전한 환경을 만들어 국민 삶의 질을 높이는 데 온 힘을 다할 것”이라며 “환경 연구를 한 단계 더 도약시켜 산업계 경쟁력도 동시에 강화하는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말했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3/02/21/2023022101923.html
'교류의 장 > 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북한 초미세먼지 배출량, 남한의 1.3배로 추정 (0) | 2023.02.26 |
---|---|
’이 질환’ 앓고 있다면 임플란트 주의해야 (0) | 2023.02.25 |
가장 흔한 백내장 수술이라도… 어려운 케이스는? (0) | 2023.02.25 |
'이것' 못하는 사람, 2.7배 빨리 늙는다 (0) | 2023.02.24 |
대학병원 50개 중 38개 병원 소아청소년과 레지던트 '0' 명 (0) | 2023.0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