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립아트코리아 제공
담배의 중독성은 마약(코카인, 헤로인)과 비슷하다. 담배 속에 있는 중독 물질 ‘니코틴’ 때문인데, 강력한 니코틴 탓에 혼자서 의지만 갖고 금연을 시도한다면 성공률이 3~5%로 매우 낮다. 니코틴은 일반 연초뿐 아니라 가열담배, 액상형 전자담배에도 들어 있다.
금연을 결심했다면 니코틴 의존도를 체크해보고 본격적으로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현명하다. 먼저 아래 문항을 통해 니코틴 의존도를 평가해보자.
니코틴 의존도 평가 항목/서울대병원 제공
담배를 피우는 가장 큰 이유는 혈액 내 적정 니코틴 농도가 유지되기를 원하는 중독성 때문이다. 중독은 의지만으로는 벗어나기 어렵고 치료를 통해 교정해야 하는 질병이다. 흡연자에게 ‘금연치료’가 필요한 이유다.
금연치료에는 약물 치료가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먹는 금연치료 보조제 ‘부프로피온’과 ‘바레니클린’은 의사의 처방이 필요한데 모두 미국 식품의약국에서 안전성과 효과성을 입증받았다. 부프로피온은 항불안제의 일종으로, 금단증상을 완화해 금연 성공률을 높이는 약제다. 바레니클린은 뇌의 니코틴 수용체에 니코틴 대신 결합해 니코틴과 비슷한 효과를 내 금단 증상을 완화하고 흡연 욕구를 없애준다. 하루 2번 12주간 복용하는 것이 원칙이며 약물 치료의 성공률은 약 60%라고 알려져 있다.
흡연을 질병으로 인식하고 의사에게 꾸준한 상담을 받는 것이 금연으로 가는 첫 번째 관문이다. 정부에서는 금연치료 지원사업을 하고 있으므로 이를 적극적으로 참여하면 도움을 받을 수 있다. 금연치료 사업에 참여하는 가까운 병의원에 가면 8~12주 동안 6회 이내 의사 진료와 함께 금연치료제, 니코틴보조제(패치 등) 구입 비용을 지원받을 수 있다. 병의원과 약국은 세번째 방문 때부터 본인부담금이 면제되며(1~2회 방문 때 본인부담금 20%), 금연치료 프로그램을 이수한다면 인센티브로 1~2차에 발생한 본인부담금에 전액을 환급해준다.
한편, 2022년 발표된 OECD 보건통계에 따르면 2020년 국내 15세 이상 인구 중 매일 담배를 피우는 사람의 비율은 15.9%이며, OECD 평균(16%)과 비슷한 수치다. 연도별로 보면 2010년 22.9%, 2015년 17.3%로 지난 10년간 감소 추세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3/01/25/2023012501561.html
'교류의 장 > 쉬어가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트레스 받거나 힘들다면, ‘이것’ 들어야 (0) | 2023.01.29 |
---|---|
술 마신 다음날, ‘이것’ 섞은 물 마시기… 숙취 해소에 효과 만점 (0) | 2023.01.29 |
돈 생기자마자 쇼핑? ‘이 음료’ 안마시면 쇼핑 욕구 줄어 (0) | 2023.01.26 |
"우리 엄마가 원래 그래" 대신 "섭섭했지?"라고 해주세요 (0) | 2023.01.25 |
노안 늦추고 싶다면 ‘이것’ 먹어야! (0) | 2023.01.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