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질병/고혈압, 중풍

'이것' 관리만 잘해도… 치매 위험 확 낮아져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22. 10. 29.

고혈압 환자는 혈압을 낮출수록 치매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사진=게티이미지뱅크

혈압이 높은 사람이 치매 발병 위험도 크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또 고혈압 환자여도 치료를 받아 혈압이 낮아지면 치매 위험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호주 뉴사우스웨일스대 자연과학부 연구팀은 평균 나이 69세의 고혈압 병력이 있는 환자 2만8008명을 약 4년간 추적 관찰했다. 이 중에서는 병원 치료를 꾸준히 받아 혈압이 낮아진 사람도 있었고, 그렇지 않은 사람도 있었다. 실험 중 861명이 치매가 생겼다. 연구팀은 혈압과 치매 발병 사이 연관성을 연구한 결과, 꾸준히 치료받아 평균 수축기 혈압이 10mmHg, 확장기 혈압이 4mmHg 낮아질수록 치매 발생 위험이 87% 낮아졌다고 밝혔다.

이전 여러 연구에서도 혈압이 높을수록 치매 위험이 크다고 발표한 적이 있었다. 치매는 크게 알츠하이머 치매와 혈관성 치매로 나뉘는데, 혈압이 높으면 둘 다 발병 위험이 크다. 2016년 옥스퍼드대 연구팀은 428만 명의 의료기록을 7년간 추적 분석했다. 그 결과, 30~50세 고혈압 환자의 수축기 혈압이 20mmHg 높아질 때 혈관성 치매 발병 위험이 62%, 51~70세는 26% 상승했다. 2019년 호주 뉴사우스웨일스대 의학부 연구팀은 중년기 수축기 혈압이 140mmHg 이상이었던 사람은 노년기 알츠하이머 치매 발병 위험이 18% 높았으며, 중년기 수축기 혈압이 160mmHg 이상이었던 사람은 발병률이 25% 높았다고 밝혔다.

혈압이 높으면 혈관이 높은 압력에 노출돼 손상을 입고, 두껍고 딱딱해지며 점점 좁아진다. 약해진 혈관 때문에 산소와 영양소가 뇌세포에 제대로 공급되지 못해 치매 발생 위험도 커진다고 전문가들은 설명한다. 또 고혈압은 알츠하이머 치매 원인인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을 증가시킨다는 분석도 있다. 미국 존스홉킨스대 연구팀이 346명을 대상으로 25년간 베타 아밀로이드 수치를 조사한 결과, 고혈압 등 혈관질환이 있는 사람은 그렇지 않은 사람보다 베타 아밀로이드 단백질 증가율이 2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에 참여한 호주 뉴사우스웨일스대 루스 피터스 박사는 "고혈압은 치매와 큰 관련이 있다"며 "미리 혈압을 조절하고, 혈압이 높아졌을 때 빨리 치료를 받아야 치매 위험을 낮출 수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유럽심장저널(European Heart Journal)'에 최근 게재됐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2/10/27/2022102701626.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