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부터) 분당차병원 혈액종양내과 전홍재 교수, 천재경 교수 [사진=차병원 제공]
[헬스코리아뉴스 / 이지혜] 티쎈트릭-아바스틴 병용 치료가 실제 간암 환자 진료 현장에서도 효과와 안정성이 재현됐다.
차 의과학대학교 분당차병원 암센터 전홍재·천재경 교수 연구팀은 전 세계 간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티쎈트릭-아바스틴 병용요법의 치료 유효성을 확인했다고 29일 밝혔다.
유럽, 미국, 아시아 3개 대륙 14개 센터에서 공동 진행한 이번 연구에는 분당차병원 전홍재(교신저자)·천재경(제1저자) 교수 연구팀이 국내에서 유일하게 참여해 실제 치료현장에서 티쎈트릭-아바스틴 병용 치료 효과와 안전성을 확인했다.
티쎈트릭-아바스틴 병용요법은 임상(IMbrave150)시험을 통해 반응률과 생존율을 증명함으로써 진행성 간암의 새로운 표준치료가 됐다.
하지만 임상시험에 참여한 환자들은 전신상태와 간기능이 아주 좋은 간암 환자로 출혈 위험이 있는 환자는 모두 배제됐다.
연구팀은 티쎈트릭-아바스틴 병용요법의 긍정적 결과가 실제 진료 현장의 일반 환자들에서도 표준치료로 유효한지를 확인하기 위한 세계 최대 규모의 실사용데이터(Real World Data)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에는 티쎈트릭-아바스틴 병용 치료를 받는 진행성 간암환자 433명이 참여했으며 그 중 분당차병원 전홍재·천재경 교수에게 치료받는 환자 173명(40%)이 참여했다. 평가 가능한 환자 296명의 데이터 확인 결과 전체 생존기간 15.7개월, 무진행 생존기간 6.9개월로 확인됐다. 전체 반응률은 30.8%로 기존 글로벌 임상 연구인 IMbrave150 효과(반응률29.8%)를 재확인했다.
연구팀은 전체 환자의 74.6%(221명)에서 치료 관련 이상 반응을 확인했다. 환자의 23.6%는 3등급 이상의 중증이상 반응을 보였으며 8.4%(25명) 환자는 출혈이 발생했다.
치료 후 영상학적으로 치료반응이 있었던 환자들이 가장 좋은 예후를 보인 반면, 간문맥침범이 있거나 간기능 저하로 알부민-빌리루빈(ALBI) 수치가 높았던 환자들의 예후가 상대적으로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전홍재 교수는 “이번 글로벌 공동연구는 티쎈트릭-아바스틴 병용 치료가 실제 진료 현장에서도 효과와 안정성이 재현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며 “치료 효과를 예측할 수 있는 다양한 지표들을 제시함으로써 진료 현장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가이드라인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유럽 암 학회지(European Journal of Cancer)’ 최신호에 게재됐다.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사업(신진연구)의 지원으로 수행됐다.
<strong>리얼월드 데이터와 IMbrave 150 연구의 생존률 그래프<br></strong>평가 가능한 환자 296명의 데이터를 통해 전체 생존기간 15.7개월, 무진행 생존기간 6.9개월을 확인했다. [자료=차병원 제공]
헬스코리아뉴스 이지혜 admin@hkn24.com
- * Copyright ⓒ 헬스코리아뉴스 All Rights Reserved.
- * 본 기사의 내용은 헬스코리아뉴스 언론사에서 제공한 기사이며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관련 문의는 해당 언론사에 연락부탁드립니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news/dailynews_view.jsp?mn_idx=472216
'종류별 암 > 간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간 이식 받았다면 건강관리 '이렇게' 하세요 (0) | 2022.10.24 |
---|---|
‘간 이식’에 대하여 (0) | 2022.10.13 |
B형간염 완치 후 간암위험 예측모델 세계최초 개발 (0) | 2022.09.15 |
수술 못하는 고위험 간암, 방사선 치료 5년 생존율 껑충 (0) | 2022.09.13 |
매일 쓰는 '이 식기'… 간암 위험 높인다? (0) | 2022.0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