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부터) 서울성모병원 소화기내과 장정원 교수, 은평성모병원 소화기내과 양현 교수 [사진=서울성모병원 제공]
[헬스코리아뉴스 / 이지혜] 국내 연구진이 B형간염 표면항원이 소실된 환자의 간암 발생 위험도 예측 모델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
서울성모병원 소화기내과 장정원 교수, 은평성모병원 소화기내과 양현 교수 연구팀은 가톨릭중앙의료원 산하 병원에서 추적된 1443명의 B형간염 표면항원이 소실된 만성 B형간염 환자들을 최장 30년까지 추적 관찰하며 대규모-장기 코호트를 이용해 연구를 진행했다.
그 결과 B형간염 표면항원 소실 당시의 나이 간경변증의 유무 중등도를 초과하는 음주(남성은 하루 2잔, 여성은 하루 1잔 초과) 간세포암의 가족력이 B형간염 표면항원 소실 후에도 간암 발생의 위험인자인 것으로 밝혀졌다.
연구팀은 이 4가지 위험인자를 이용해 간세포암 발생 위험도 예측 모델을 개발했다. 시간-의존 ROC(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곡선으로 평가한 5년, 10년, 15년 예측도가 각각 0.799, 0.835, 0.817로 그 예측도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ROC 곡선은 성능평가지표로 ROC곡선 영역이 0.8 이상인 경우 우수한 성능의 예측모델로 평가된다. 예측의 정확성을 확인하는 내부검증(internal validation)에서도 유효한 결과가 나왔다.
B형 간염은 국내 간암 발생의 가장 중요한 위험인자로 전체 간암 환자의 약 60~70%의 원인이 된다. 우리나라는 전 인구의 약 2.5~3%가 B형간염 바이러스 보유자로 유병률이 높다.
6개월 이상 B형간염 바이러스에 지속 감염된 만성 감염자의 20% 정도는 간경변으로 진행되는데 간경변에 걸린 환자 중 매년 약 2~7%는 간암이 발생한다. B형간염 바이러스 보유자는 정상인에 비해 간암 발생 위험도가 약 100배 이상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B형간염 예방접종사업으로 우리나라 B형간염 유병률은 과거에 비해 줄어드는 추세이지만 여전히 B형간염은 우리나라 간세포암(간암) 발생의 가장 중요한 원인이다. B형간염 표면항원이 소실되는 이른바 ‘B형간염 기능적 완치’는 양호한 예후를 보이지만 일부 환자는 여전히 간암에 걸릴 수 있다.
양현 교수는 “이번 연구는 B형간염 완치 후에도 간암 발생이 일어날 수 있으며 어떤 환자들을 더 중점적으로 면밀히 추적 관찰해야 하는 지 밝혀냈다는 것에 큰 의미가 있다”며 “B형간염 완치 후에도 간경변증이 이미 있거나 간암 가족력이 있는 경우, 음주량이 많은 경우나 고령인 경우에는 반드시 간암 감시검사를 놓치지 않고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장정원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개발한 모델은 B형간염 완치 후에 간암 위험도에 대한 세계최초의 예측모델이다”며 “정기적인 검사를 통해 쉽게 얻을 수 있는 환자의 건강정보를 이용한 이번 모델이 향후 B형간염에서 완치된 환자들의 적정 임상 관리방법에 대한 가이드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간장(肝腸)학 분야 최고 권위의 국제 학술지 ‘간장학 저널(Journal of Hepatology)’ 9월호에 ‘A risk prediction model for hepatocellular carcinoma after hepatitis B surface antigen seroclearance’라는 제목으로 게재됐다.
헬스코리아뉴스 이지혜 admin@hkn24.com
- * Copyright ⓒ 헬스코리아뉴스 All Rights Reserved.
- * 본 기사의 내용은 헬스코리아뉴스 언론사에서 제공한 기사이며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관련 문의는 해당 언론사에 연락부탁드립니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news/dailynews_view.jsp?mn_idx=470864
'종류별 암 > 간암'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 이식’에 대하여 (0) | 2022.10.13 |
---|---|
간암환자 ‘티쎈트릭-아바스틴’ 병용요법 치료효과 재확인 (0) | 2022.10.04 |
수술 못하는 고위험 간암, 방사선 치료 5년 생존율 껑충 (0) | 2022.09.13 |
매일 쓰는 '이 식기'… 간암 위험 높인다? (0) | 2022.08.15 |
문맥혈관을 침범한 간세포암, 수술·방사선 치료 위험하댔는데… (0) | 2022.08.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