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수술하면 위험하다고 알려졌던 문맥혈관 침범 간세포암이 수술 기술의 발달로 적극적인 치료를 하는 것이 더 안전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사진=클립아트코리아
기존 수술하면 위험하다고 알려졌던 문맥혈관 침범 간세포암이 수술 기술의 발달로 적극적인 치료를 하는 것이 더 안전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고려대 안산병원 방사선종양학과 임채홍 교수, 이대목동병원 소화기내과 이한아 교수, 고려대 안산병원 외과 이혜윤 교수팀은 최근 문맥혈관을 침범한 간세포암 치료에 수술과 방사선치료가 유효함을 밝혀냈다.
문맥혈관을 침범한 간세포암은 본래 수술적 절제술이 금기증으로 간주되거나 제한적으로 시행될 만큼 적극적인 치료가 어려웠다. 생존기간도 6개월 이하로 예후가 매우 불량했다. 그러나 최근에는 수술 기술의 발달로 전신상태가 양호한 환자들에게 수술적 절제가 시도되기도 했고, 방사선치료도 적극적으로 시행돼 증상 완화와 생존율 증가를 꾀하고 있다.
연구팀은 9525명의 환자, 59개의 연구를 분석해 간세포암에서 방사선치료와 수술의 효과를 평가했다. 이번 연구에서 수술을 시행한 환자군은 1년 생존율이 63%에 달했고, 간문맥의 주가지(main branch) 침범이 없는 환자군에서 방사선치료 후 1년 생존율은 60%에 달했다. 특히, 최근에 시도되기 시작한 수술과 방사선치료를 병용한 경우 1년, 2년 생존율이 각각 77%, 45%에 달하여 방사선치료가 예후 향상 및 증상 완화에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채홍 교수는 "과거에는 혈관을 침범한 간세포암을 치료하는 방법이 매우 제한적이었으나, 주가지를 침범하지 않고 환자의 건강 상태가 양호한 경우 수술이나 방사선치료를 통해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며 "만약 주가지를 침범하였더라도 방사선치료를 포함한 완화적 치료를 통해 예후를 개선시킬 수 있으므로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본 연구의 결과는 국제 외과 학술지 'International Journal of Surgery'에 최근 게재됐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2/08/04/2022080401933.html
'종류별 암 > 간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술 못하는 고위험 간암, 방사선 치료 5년 생존율 껑충 (0) | 2022.09.13 |
---|---|
매일 쓰는 '이 식기'… 간암 위험 높인다? (0) | 2022.08.15 |
간과 간암 ... 얼마나 알고 있나 (0) | 2022.07.30 |
간암 중 가장 흔한 간세포암, 남성이 77%… 주요 증상은? (0) | 2022.07.26 |
B형간염, 술 소비량 많은 한국인… 꼭 신경써야 하는 '이 암' (0) | 2022.07.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