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병원 치료/암 치료 부작용

항암 후 ‘림프순환장애’ 극복 가능성 열려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22. 8. 7.

(왼쪽부터) 서울아산병원 재활의학과 전재용 교수, 의공학연구소 천화영 박사 /서울아산병원 제공

암 환자 삶의 질을 떨어뜨리는 주요 원인 중 하나인 림프순환장애 치료 가능성이 열렸다. 최근 국내 연구진이 손상된 림프의 흐름을 회복시키는 인공 구조물을 개발한 것이다.

서울아산병원 재활의학과 전재용 교수·의공학연구소 천화영 박사팀은 림프절 절제술로 림프의 흐름이 끊어진 소동물 모델에 인공 구조물 ‘림프채널시트’를 이식한 결과, 끊어진 림프의 흐름이 성공적으로 회복됐으며 부종 감소 효과도 확인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림프채널시트가 단순히 림프의 흐름을 지속시킬 뿐 아니라 새로운 림프관이 재생하는 데에도 기여하는 것을 추가로 확인했다.

림프부종은 암이 림프절까지 전이됐을 때 림프절 부위를 절제하고, 방사선 치료를 이어가는 과정에서 손상이 발생해 생기는 문제다. 림프조직이 손상되면 림프 흐름이 단절돼 팔, 다리가 심하게 붓고 만성염증이 생기는 림프부종이 발생하는 경우가 흔하다. 그러나 예방법이나 치료법이 마땅치 않아 암 환자의 고통이 컸다.

이에 연구팀은 단절된 림프 구간의 흐름을 이어줄 통로 역할은 물론, 림프관신생을 위한 지지대(스캐폴드) 역할까지 수행할 ‘림프채널시트’를 개발했다. 림프채널시트는 미세유체 통로를 포함하는 2차원 구조물로 단절된 림프관 사이를 이어주도록 제작됐으며, 기존 기술 대비 비교적 쉽게 시술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실제 림프절(상완림프절)을 제거하고 방사선 치료 상황을 재연한 소동물 실험에서 림프채널시트는 림프의 흐름을 유지하는 역할을 입증했다. 이식한 림프채널시트 내부를 조직검사한 결과에선 시트 내부의 채널을 따라 미세 혈관과 미세 림프관이 새롭게 생성된 것도 확인됐다.

전재용 서울아산병원 재활의학과 교수는 “림프순환장애는 특히 유방암을 포함한 여성암 환자들이 많이 호소하는 수술 후 후유증이지만 아직 적절한 예방 및 치료 기술이 부족한 상황이었다"고 말했다. 전 교수는 "이번 연구가 재생의학 측면에서 림프순환장애의 획기적인 새로운 예방 및 치료 전략 확립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했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2/08/01/2022080101460.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