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병원 치료/수술

고속·고압 물 쏘아 비대해진 전립선 제거… "熱 없는 수술, 부작용 안심"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22. 7. 10.

스탠탑비뇨의학과의원 길명철 원장은 “소변줄 착용이나 출혈에 대한 부담이 큰 전립선비대증 환자를 위한 수술법이 많다”며 “워터젯을 활용한 전립선절제술은 전립선이 과도하게 커진 환자도 부작용 없이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신지호 헬스조선 기자

전립선비대증은 남성 방광 아래의 전립선이 노화·유전·생활습관 등에 의해 커지는 질환이다. 직접 방광을 압박할 뿐만 아니라 요도를 좁게 만들어 배뇨 장애를 일으킨다. 환자의 90%가 50대 이상 남성이라 중노년 남성 질환의 상징같이 여겨지지만 2030도 안심할 순 없다. 2015년 전립선비대증을 진단받은 20대는 1822명에서 2019년 2942명으로 61% 증가했다. 30대 역시 같은 기간에 1만438명에서 1만3257명으로 27% 증가했다. 증가폭만 놓고 보면 50대(12%)와 60대(26%)를 앞선다. 스탠탑비뇨의학과의원 길명철 원장은 "생식기 관련 질환이다 보니 병원 선택과 방문에 신중한 사람이 많다"며 "수술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치료 시기를 놓쳐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배뇨장애 방치 시 요폐증상, 신부전 등 합병증 가능성

전립선비대증으로 나타나는 배뇨장애는 크게 자극 증상과 요폐 증상으로 나뉜다. 자극 증상은 ▲소변줄이 가늘어지는 '세뇨' ▲소변을 자주 보게 되는 '빈뇨' ▲소변을 봐도 계속 남아 있는 것 같은 '잔뇨감' ▲소변을 참기가 어려운 '급박뇨' ▲자다가 일어나서 보게 되는 '야간뇨' 등이 있다. 이는 모두 전립선비대증을 알리는 초기 신호라고 할 수 있다.

자극 증상을 무시하면 소변길이 완전히 막히는 요폐 증상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아랫배에 아무리 힘을 줘도 소변 배출이 안 돼 신장 기능이 망가질 수 있다. 길명철 원장은 "전립선비대증을 치료하지 않으면 급성 요폐와 신부전 등 다양한 합병증이 생길 수 있다"며 "업무에 지장을 주는 것뿐만이 아니라 삶의 질 자체를 떨어뜨리기 때문에 결코 가볍게 여겨선 안 되는 질환"이라고 말했다.

◇약물·수술 치료 모두 적용하지만 한계도…

전립선비대증 치료엔 약물 및 수술이 모두 적용된다. 비교적 초기에 전립선비대증을 발견하면 증상 완화를 목적으로 약물 치료가 고려된다. 다만 약물 치료로는 전립선 크기 자체를 줄일 수 없다. 일부 환자는 전문의의 진단 없이 임의로 약을 복용하기도 하는데 치료 시기를 놓치거나 약물 부작용을 겪을 수 있다.

수술은 약물 치료만으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울 때 고려된다. 눌려 있는 요도를 열기 위해 전립선 조직을 태우거나 제거하는 수술이 대부분인데 경요도전립선절제술(TURP)이 유명하다. 요도에 방광내시경을 삽입한 뒤 열이 있는 후크를 이용해 전립선 조직을 긁어내는 수술 방식이다. 다만 전립선 조직을 직접 제거하다 보니 출혈과 마취 등에 대한 부담이 크고 제거 과정에서 요도, 사정관이 손상될 위험이 있다.

◇고속·고압 물로 전립선 조직 절제, 열에너지 안 써 부작용 없다

최근엔 약물 및 수술 치료의 한계를 보완한 수술법이 각광받고 있다. 조직 절제 없이 특수 금속 결찰사로 전립선을 묶어 요도를 확보하는 '전립선결찰술'과 고압·고속의 물로 비대해진 전립선 조직을 제거하는 '워터젯을 이용한 경요도적 전립선절제술(아쿠아블레이션)'이 대표적이다. 전립선결찰술은 부작용이 적고 회복이 빠르지만 80g 이상 비대해진 전립선에는 적용이 어렵다.

워터젯 전립선절제술은 80g을 넘어 150g까지 비대해진 전립선과 방광 위로 돌출한 모양의 전립선에도 적용할 수 있다. 게다가 전립선 초음파 영상과 표준카메라를 통합해 사용하므로 환자마다 다른 해부학적 구조를 집도의가 실시간으로 확인한다. 로봇으로 제어하며 전립선 조직을 제거하기 때문에 혈관 및 신경 보존도 가능하고 열에너지가 없어서 부작용 발생 비율이 낮다.

임상 결과에서도 성과를 드러냈다. 경요도전립선절제술과 워터젯 전립선절제술의 3년간 '국제전립선증상점수(IPSS)' 임상 데이터를 확인했더니 워터젯 전립선절제술이 안전성, 증상 감소, 삶의 질 개선에서 점수가 높았다.

워터젯 전립선절제술 장비인 아쿠아블레이션은 2014년 12월 유럽 'CE 마크'를 획득했으며 2017년 4월 미국 FDA에서 허가됐다. 국내에선 아쿠아블레이션을 활용한 수술법이 2021년 12월, 신의료기술로 지정됐다.

스탠탑비뇨의학과의원 길명철 원장은 "현재 전립선비대증엔 워터젯 전립선절제술 및 전립선결찰술과 같은 다양한 치료법이 시행되고 있어서 개인 맞춤 치료가 가능하다"며 "소변줄 착용이나 출혈에 대한 부담이 크고 전립선이 이미 과도하게 비대해진 환자들은 로봇 시스템을 활용한 워터젯 전립선절제술로 비교적 안전하게 하부요로증상 완화를 기대해 볼 수 있다"고 말했다. 또 "증상이 있다면 노화 현상으로 치부하지 말고 빠른 검사와 치료로 편안한 일상을 보내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출처 : https://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22/07/05/2022070501653.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