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헬스코리아뉴스 / 박정식] 암 치료를 받은 과거력이 있는 환자라도 신장이식이 가능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장기이식센터 양철우·정병하 교수, 은평성모병원 반태현 교수팀은 계명대 동산의료원 한승엽, 박우영 교수팀과 함께 지난 50년간 신장이식을 받은 3745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이식 전 암 치료를 받은 환자의 유병률과 이식 후 암 발생률을 조사했다.
양철우 교수팀은 신장이식 환자를 연도별로 1969~1998년, 1999~2006년, 2007~2016년 세 군으로 나누고 이식 후 재발 또는 새로운 암 발생 정도를 신장이식 전 암이 없었던 환자군과 비교했다.
- 신장이식 전 암 치료를 받은 환자 비율. (자료=서울성모병원)
연구 결과 신장이식 전 암을 치료한 환자는 72명(1.9%)이었다. 시기별로는 1998년까지는 신장이식 전 암 치료를 한 환자는 없었으며, 1999~2006년 1.1%, 2007~2016년 4.3%로 최근 10년 동안 증가폭이 높았다.
이식 전 발병한 암의 종류는 1999~2006년 방광암, 간암, 위암에서 2007~2016년 갑상선암(29.2%)과 신장암(18.1%)으로 변화했다.
이식 후 암 재발률은 이식 전 암이 없던 환자의 암 발생률과 비교했을 때 각각 4.2% 대 6.9%로 차이가 없었다.
- 신장이식 전 발병한 암 종류 및 환자수. (자료=서울성모병원)
양철우 교수는 “요즘 투석치료를 장기간 받는 말기신부전 환자가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이식을 받기 위해 외래로 오는 경우가 많다”며 “이 연구를 통해 이식 전 암 치료를 받은 환자도 이식 후 암 재발률이 높지 않지 않다는 것을 확인한 것이 가장 큰 수확”이라고 말했다.
이번 임상연구결과는 대한신장학회 공식 학술지인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10월23일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
헬스코리아뉴스 박정식 admin@hkn24.com
출처 : http://health.chosun.com/news/dailynews_view.jsp?mn_idx=339379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2군단 > 알아두면 좋은 암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면장애가 암발생위험 높힌다 (0) | 2019.12.29 |
---|---|
韓 암발생률 OECD 평균보다 낮아 … 생존율도↑ (0) | 2019.12.26 |
또 발암물질 검출…이번에는 당뇨약 ‘메트포르민 공포’ (0) | 2019.12.22 |
‘개 구충제’로 암 완치?…논란은 현재 진행형 (0) | 2019.12.16 |
늘어나는 위암·대장암 환자…정기적인 건강검진 ‘내시경 검사’ 필요 (0) | 2019.1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