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크리에이터 정관진 제2군단/알아두면 좋은 암상식

수면장애가 암발생위험 높힌다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19. 12. 29.

수면 중, 특히 깊은 수면 중에 신체는 손상된 세포와 DNA를 복구하고 건강한 새로운 세포 성장을 촉진하고 면역 체계를 강화한다. 수면이 부족하게 되면, 세포 손상이 증가되고, 세포 복제 오류 위험이 증가하는 등 DNA 손상, 세포 손상 및 세포 기능 장애가 증가하게 된다.

암은 여러 형태의 질병으로 나타나지만 모든 유형의 암은 통제가 어려운 성장과 손상된 비정상 세포의 복제를 한다. DNA는 암에서 원소 역할을 한다. 때문에 수면부족은 암발생위험을 높힐 수 있다. 불면증은 여러 유형의 암에 영향을 주지만, 특히 유방암, 전립선암, 갑상선암에 대한 위험을 많이 증가시켰다.

야간 근무를 하는 사람들은 암 발생위험이 높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수면전문가인 Michael J. Breus, DABSM 박사에 따르면 “유방암, 대장암, 위장암, 피부암 및 폐암의 위험이 밤에 깨어있는 경우 증가 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2018년 장기 야간 근무한 여성에 대한 연구에 따르면, 장기 근무를 하지 않은 여성에 비해 암 발생 위험이 19% 높았다.

수면 중 심하게 코를 골면서 호흡이 자주 끊어지는 수면무호흡증도 암 위험을 증가시킨다. 미국 위스콘신 대학 의과대학 연구진은 수면무호흡증으로 인한 산소결핍이 새로운 혈관 형성을 자극해 종양 형성을 촉진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위스콘신 수면집단연구에 참가한 1500여명을 22년간 조사한 결과 수면무호흡증의 정도에 따라 암 사망위험이 10%에서 최고 5배까지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수면무호흡증 빈도에 따른 암 사망위험은 시간당 5~14.9회가 10%, 15~29.9회는 2배, 30회 이상은 4.8배였다.

이에 대해 서울수면센터 한진규 원장은 “수면무호흡증으로 인해 혈액 내 산소포화도가 떨어지면 뇌와 심장에 산소 공급이 저하되면서, 암뿐만 아니라, 두통, 치매, 뇌졸중 등 뇌혈관 질환이나 당뇨병, 고혈압, 심장발작 등 심혈관 질환의 위험이 증가한다”고 말했다.

수면무호흡증은 대부분 구조적인 문제로 그냥 놔 둔다고 개선되지 않기 때문에 심한 코골이를 하거나, 수면무호흡증이 의심된다면 빠른 치료가 중요하다. 수면무호흡증 치료를 위해서는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원인을 정확히 파악하고 치료에 임해야 한다. 최선의 치료방법은 양압기 치료이다. 양압기는 잘 때 착용하는 장치로 자는 동안 공기를 인위적으로 공급해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감소된 산소 농도를 정상으로 회복시키고, 뇌`심혈관 질환을 예방 할 수 있다.

한 원장은 “양압기는 잠을 잘 때마다 입에 장착하고 자야 하므로 불편하다고 느낄 수 있지만 며칠만 사용하면 금세 적응할 수 있다”며 “지속적으로 양압기 치료를 하면 치료 성공률은 거의 100%에 가깝기 때문에 꾸준한 사용이 중요하다”고 했다.


메디컬투데이 박제성 기자 do840530@mdtoday.co.kr

  • * Copyright ⓒ 메디컬투데이 All Rights Reserved.
  • * 본 기사의 내용은 헬스조선의 편집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출처 : http://health.chosun.com/news/dailynews_view.jsp?mn_idx=3399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