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성 물질 만들어내 염증 유발
우리나라는 세계에서 위암 발생률이 가장 높은 나라에 속한다. 매년 인구 10만명당 50~60명의 위암 환자가 발생하며, 미국의 10배에 달하는 수준이다. 통계청이 지난해 발표한 '2017 사망원인 통계'에 따르면 국내 위암 사망률은 10만명 당 15.7명이다. 위암을 유발하는 요인들은 다양하다. 지속적인 음주, 흡연, 짠 음식 섭취가 영향을 미친다. 그런데 이 중에서 가장 위험한 것이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이하 헬리코박터균)'이다.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은 세계보건기구(WHO)가 지정한 1군 발암물질이다. 그런데 한국은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률이 높은 나라로, 감염률이 50~60%에 달한다. 헬리코박터균은 어떤 방식으로 위암을 유발하는 것일까?
헬리코박터균이 위벽을 파고들어 위암을 유발한다고 알고 있는 사람이 많은데, 그 대신 CagA 등의 독성 물질을 만들어내 위에 손상을 입힌다. 이로 인해 위에 염증을 유발하면 먼저 위축성 위염이 생긴다. 위축성위염은 위에 염증이 진행되면서 위선이 파괴돼 위산 분비가 잘 안 되고 위 점막의 색이 변하고 얇아져 혈관이 비쳐 보이는 상태다. 위축성위염을 방치하면 장상피화생으로 악화된다. 장상피화생은 위 점막이 장 점막과 유사하게 변한 것인데, 초기에는 소장과 닮은 조직이 되고 후기에는 대장을 닮은 조직으로 변성된다. 이후 위암으로 이어진다. 보통 위축성위염에서 위암까지 20~50년이 걸리는데, 일부는 위염에서 위암으로 바로 진행되기도 한다.
한편 파일로리균은 '우레아제'라는 효소를 가지고 알칼리성 암모니아를 만들어내는데, 이러한 과정 중 위산이 중화돼 강력한 위산 속에서도 살아남는다.
따라서 위궤양, 십이지장궤양 환자는 위암 환자는 헬리코박터균에 감염됐다면 항생제를 복용해 균을 없애야 한다. 이 밖에 위암 가족력이 있거나 기능성 소화불량증이 있는 사람도 제균 치료를 고려해볼 수 있다.
출처 :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2/18/2019021801949.html
'종류별 암 > 위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위암 말기, 희망보고서 (0) | 2019.02.27 |
---|---|
[스크랩] 조기 완치율 95% ‘위암’ 진단-치료 방법은 (0) | 2019.02.21 |
[스크랩] 위암 1기여도, 전체 잘라내야 하는 경우는? (0) | 2019.01.31 |
[스크랩] 위암 항암 부작용 적은 편, 수술 후 식후엔 눕는 게 도움 (0) | 2019.01.31 |
[스크랩] [위암]위암의 정리 (0) | 2019.0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