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건강보험공단 발표
국내 심장박동 이상 환자가 매년 6% 이상씩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이 21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국내 심장박동 이상 환자는 2012년 14만5000명에서 2017년 19만9000명으로 5년 새 약 37%, 연평균 6.52%씩 증가했다. 성별로 봤을 때 같은 기간 남성은 5만5000명에서 7만5000명으로 연평균 6.52%, 여성은 9만명에서 12만4000명으로 연평균 6.46% 늘었다.
연령대별로 살펴보면 2017년 기준으로 50대가 3만9000명(19.8%)으로 가장 많았고, 그 뒤로 60대 3만4000명(17.5%), 40대 3만3000명(16.7%) 순이었다.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심장내과 이한철 교수는 "서구형 식단, 잦은 음주, 스트레스 등으로 인한 심혈관질환 위험성이 증가하면서 부정맥 질환도 늘어나는 것"이라며 "50대에 유독 환자가 많은 이유는 대부분의 심장박동 이상이 심근경색이나 심부전 등 심혈관질환으로 인해 2차적으로 발생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심장박동 이상이란 심장박동이 평소와 다르게 빨라지거나, 늦어지거나 불규칙한 상태가 되는 것이다. 심장은 스스로 전기 신호를 만들고, 전기 신호가 심장근육 세포를 자극해 수축을 유발한다. 1분에 60~100회, 하루에 약 10만번 규칙적으로 박동하는 것이 정상이다.
심장박동 이상을 의심해 병원을 찾으면 보통 24시간 이상 기록이 가능한 심전도(홀터) 검사를 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심장박동 이상은 지속 시간이 짧고 빈도가 낮아 간단한 검사만으로 이상을 확인하기 어렵다. 증상이 있으면 심전도 등의 검사에서 정상이 나왔어도 정밀검사를 받아볼 필요가 있다. 단, 증상이 없어도 모두 안전한 것은 아니어서 정기적인 검진을 받는 것이 가장 안전하다.
심장박동 이상이 있다고 반드시 치료받아야 하는 것은 아니다. 대부분 예후가 좋다. 하지만 심각한 형태의 부정맥 초기 양상일 수도 있어 부정맥 전문의와 상담 후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아야 한다.
이한철 교수는 "심장박동 이상을 예방할 수 있는 특별한 방법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규칙적인 운동과 식사습관 교정이 필요하다"며 "개개인마다 차이는 있지만 카페인이나 알코올 섭취, 스트레스 등 자신에게 부정맥을 유발하는 특정 상황을 파악하고 피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이어 이 교수는 "일부 환자에서 약초나 한약, 건강보조식품을 복용하고 부정맥이 생겼다는 보고가 있어 주의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또한 치명적인 부정맥은 심근경색, 심부전 등에 의해 2차적으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 동반된 심장질환을 치료해야 한다.
출처 :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8/11/21/2018112101629.html
'질병 > 그밖의 중요 질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겨울에 더 괴로운 요실금, 추워도 활동 줄이지 마세요 (0) | 2018.11.26 |
---|---|
[스크랩] 루푸스, 아토피, 크론병 등 난치성 질환 약제 급여 확대 (0) | 2018.11.22 |
[스크랩] "협심증, 전조증상만 잘 알아차리면 발견할 수 있어" (0) | 2018.11.20 |
[스크랩] "머리 쓰는 인지 활동 열심히 하세요. 치매 위험 줄어듭니다" (0) | 2018.11.14 |
[스크랩] 목 맥박 검사하면, 치매 위험 알 수 있다? (0) | 2018.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