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격적인 무더위가 시작된 가운데 열대야로 잠을 이루지 못하는 밤이 이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수면장애라고 하면 잠이 드는 데 어려움을 겪거나 자주 잠에서 깨는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과도한 수면 역시 수면장애의 일종이다. 과도한 수면은 오히려 수면의 질이 떨어진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정상적인 수면 시간은 하루 7~8시간으로, 이보다 적은 것은 물론 많은 것도 수면장애가 될 수 있다는 의미다.
특히 최근엔 정상 수면시간 이상으로 잔 여성의 경우 그렇지 않은 여성에 비해 뇌졸중 유병률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자생한방병원 척추관절연구소(소장 하인혁) 김민영 연구팀은 7~8시간 수면하는 여성에 비해 9시간 이상 수면하는 여성의 뇌졸중 유병률이 3배 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16일 밝혔다.
연구팀은 한국 질병관리본부의 5·6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10~2014년) 원시자료를 토대로 자가 설문지를 통해 뇌졸중의 진단 여부와 수면 시간에 응답한 1만7,601명의 자료를 수집했다. 대상자 집단은 하루 평균 ▲6시간 이하 7,369명(42%) ▲7~8시간 8,918명(51%) ▲9시간 이상 1,314명(7%) 그룹으로 분류했다. 각 그룹은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질병력, 생활 습관, 정신건강 요인을 혼란변수로 설정하여 뇌졸중 유병률을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비교했다.
그 결과 전체 대상 분석 중 사회인구학적 특성 및 생활습관과 질병력을 조정했을 때 9시간 이상 수면하는 그룹이 7~8시간 수면하는 그룹에 비해 2배가량 높았다.
연구팀이 남녀를 구분하여 분석하였을 때는 여성에게서 수면시간에 따른 뇌졸중 유병률의 변화가 더 눈에 띄게 드러났다. 사회인구학적 특성과 생활습관 요소를 조정하여 7~8시간 수면하는 여성 그룹보다 9시간 이상 수면하는 여성 그룹은 뇌졸중 유병률이 약 3배 높은 것으로 관찰됐다. 반면 남성의 경우 모든 혼란변수를 조정하였음에도 수면시간에 따른 유의미한 뇌졸중 상대위험도 차이는 없었다.
연구팀은 이러한 결과가 정서적 취약성 때문이라고 추정했다. 수면시간에 따른 뇌졸중 유병률을 보이는 여성은 호르몬의 영향으로 정서적 취약성을 가진다. 난소 호르몬이 시상하부-뇌하수체 부신축(HPA축)에 영향을 미쳐 스트레스 반응 조정이 제대로 안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결국 수면 장애를 유발하고 숙면을 취하지 못해 과도한 수면으로 이어져 뇌졸중 유병률을 높이는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기존 연구에서 과도한 긴 수면 시간이 정상 수면군보다 뇌졸중 위험이 50% 높다는 결과도 밝혀진 바 있다.
연구를 진행한 김민영 한의사는 “향후 뇌졸중에 더 취약한 중년층과 노년층을 대상으로 하여 수면 시간과 질, 관련 질환 등 종합적인 수면 상태와 생활적 요소가 뇌졸중과 가지는 연관성을 파악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SCI(E)급 국제학술지 영국의학저널 오픈(BMJ Open, IF= 2.369) 6월호에 게재됐다.
출처 :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8/07/16/2018071600809.html
'질병 > 고혈압, 중풍'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뇌졸중` 막으려면 식습관 고치고, 운동 당장 시작해야 (0) | 2018.07.18 |
---|---|
[스크랩] 고혈압 치료제 파동, 오리지널 `미소` 제네릭 `울상` (0) | 2018.07.18 |
[스크랩] `발사르탄` 고혈압약, 다른 국가는 어떻게 대처했나 (0) | 2018.07.16 |
[스크랩] 600만 고혈압 환자 덮친 발사르탄의 `공포` (0) | 2018.07.12 |
[스크랩] 갑자기 일어났을 때 ‘핑’ 도는 기립성 저혈압, 일어나고 3분 내 혈압 떨어져 (0) | 2018.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