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디칼트리뷴 김준호 기자] 췌장에 생긴 물혹은 내시경으로 제거하는게 수술보다 효과적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서울아산병원 소화기내과 서동완 교수팀이 내시경초음파로 췌장 낭성종양 환자 158명을 치료한 후 평균 6년 동안 장기적으로 추적 관찰한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에 따르면 총 141명(89.2%) 환자에서 종양이 없어지거나 꾸준히 관찰만 해도 될 정도로 크게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체 환자 가운데 16명(10.1%)에서만 합병증이 발생해 기존 수술법 보다 약 3분의 1로 줄어들었다.
서 교수팀의 내시경수술법은 입 안으로 내시경 초음파를 넣어 췌장 낭성종양에 미세한 침을 꽂아 안에 들어있는 물을 빼낸 후 에탄올을 넣는 것이다. 경우에 따라서는 소량의 항암제까지 집어넣어 낭성종양 세포를 괴사시킨다.
서 교수팀이 2005년 국내에서 처음으로 실시한 이 방법은 물혹만 제거하기 때문에 당뇨가 생기지 않고 수술로 인한 다른 부작용이 발생할 위험도 줄일 수 있다.
수술로 췌장 일부분을 잘라내 낭성종양을 제거하면 환자의 몸에서 췌장이 제역할을 다 하지 못해 혈당 조절 기능이 떨어지고 소화도 잘 되지 않는다. 당뇨병, 소화기능 장애 등의 합병증 발생률도 약 30%로 알려져있다. 하지만 내시경수술법은 췌장을 잘라내지 않기 만큼 췌장 기능이 유지돼 당뇨가 생기지 않고, 흉터가 남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회복 시간도 매우 빨라 시술 후 환자의 삶의 질이 유지된다. 재발하더라도 재시술이 가능하다.
특히 15명은 가벼운 복통 등 증상이 매우 경미하거나 적절한 치료를 받으면 회복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서 교수팀의 연구결과는 유럽소화기내시경학회지(Endoscopy)에 게재됐다.
메디칼트리뷴 김준호 기자 news@medical-tribune.co.kr
출처 : http://health.chosun.com/news/dailynews_view.jsp?mn_idx=196033
'병원 치료 > 수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식약처, 최초 국산 수술 로봇시스템 `레보아이` 허가 (0) | 2017.08.03 |
---|---|
[스크랩] "전립선비대증 수술할까 말까" 판단 프로그램 개발 (0) | 2017.07.30 |
[스크랩] “심장·간 동시 이식수술…‘미친 짓’이었지만 서로를 믿어 성공했죠” (0) | 2017.07.24 |
[스크랩] 혈액형 다른 사람의 肝이나 멈췄던 심장도 이식 가능 (0) | 2017.07.13 |
[스크랩] 연세건우병원은 족부만 전문으로 보는 의사 4명… 年 3500건 수술 `국내 최다` (0) | 2017.07.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