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 질환은 전 세계 사망 원인 1위를 차지하고 있다. 혈전(피떡)이 심장으로 가는 혈관을 막아 생기는 심근경색이나 심부전이 대표적인 심장 질환이다. 그러나 최근 평균 수명이 증가하면서 심장판막질환 환자가 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심장판막질환은 심장판막(심장 내 혈액이 역류하지 않도록 하는 벨브 역할을 함)이 찢어지거나 딱딱해지는 등 변형된 것이다. 심장판막질환이 생기면 심장에 무리가 간다. 국민건강보험공단 자료에 따르면 퇴행성 심장판막 질환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가 2010년 1만9316명에서 2015년 2만5151명으로 5년간 30.2% 증가했다.
심장 판막에 문제가 생기는 주된 원인은 노화다. 나이가 들면 심장 판막도 닳고 얇아져 쉽게 찢어진다. 또 몸속의 칼슘 결석 등이 오랜 시간 심장 판막에 쌓이면서 판막이 딱딱해지고 좁아진다. 이외에도 어릴 때 용혈성 연쇄상구균에 감염돼 류마티스열을 앓은 경우, 후유증으로 심장판막질환을 앓는다.
심장판막질환에 걸리면 다양한 합병증에 걸릴 수 있다. 심장 판막이 혈액의 흐름을 조절하지 못해 심장의 압력이 올라가 문제가 생긴다. 심장 기능이 떨어져 심부전·부정맥 등을 앓고, 뇌로 가는 혈액이 부족해지면 허혈성 뇌졸중에 걸리기도 한다. 이런 심장질환의 대부분은 사망으로 이어져 매우 치명적이다.
심장판막질환 예방을 위해선 증상이 없더라도 심전도검사를 통해 미리 질환 여부를 확인하는 게 중요하다. 전조 증상으로 알려진 가슴 통증이나 청색증(얼굴과 입술이 파랗게 변하는 증상)이 나타났다면, 이미 상태가 심각한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초기에는 약물을 통해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 항응고제나 진통제를 통해 혈액의 흐름을 좋게 하고 가슴 통증을 줄인다. 만약 상태가 심각하다면 심장 판막을 인공 판막으로 교체하거나 입구를 넓혀주는 수술을 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는 면역력이 떨어진 노인환자에게 무리를 줄 수 있어 신중히 진행해야 한다.
출처 :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7/18/2017071802429.html
'질병 > 그밖의 중요 질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갑자기 살 빠졌거나, 쪘다면… 나도 갑상선 기능장애? (0) | 2017.07.19 |
---|---|
[스크랩] 눈·입이 건조해지는 당신 혹시 쇼그렌증후군? (0) | 2017.07.19 |
[스크랩] 기면증, 갑자기 잠만 쏟아져? 힘 빠져 주저앉기도... (0) | 2017.07.16 |
[스크랩] 여성 괴롭히는 질염, 생각지 못한 `이것` 이 원인? (0) | 2017.07.16 |
[스크랩] 관상동맥질환자, 혈관 뚫어도 당뇨병 있으면 재발률 2.19배 (0) | 2017.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