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도암의 한 종류인 식도편평상피암은 한국, 일본 등 동아시아지역에 거주하는 사람들에게서 주로 발견된다. 우리나라의 경우 식도암 환자의 92%, 일본은 93%가 편평상피암으로 알려져 있다.
식도평편상피세포암은 초기 단계에서도 림프절 전이가 빈번하게 일어난다. 발병 위치와 림프절 전이 양상이 서구에서 쉽게 발생하는 식도선암과 다르기 때문에, 수술 방법도 차이가 있다. 식도 상부 주변의 양측 성대 신경 부근 림프절을 세밀하게 완전히 제거하는 고난도 수술방식이 필요하다.
미국암연합회(AJCC)와 국제항암연맹(UICC)는 식도평편상피암 환자의 5년 생존율을 I기의 경우 60%, II기는 45%, IIIA기는 25%로 밝힌바 있다. 이는 위암, 유방암, 대장암 등 주요 암종별 5년 생존율에 비해 낮은 수치다.
세브란스병원 흉부외과 김대준·박성용 교수팀은 2006년부터 2014년까지 로봇수술기를 이용한 식도 및 림프절 절제술을 받은 111명의 식도편평상피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수술 후 장기 생존 및 재발율을 관찰했다. 환자들은 모두 수술 전 항암 방사선 치료를 받지 않았다. 환자들의 수술 후 병기는 Ⅰ기 56명(50.5%), Ⅱ기 28명(25.2%), ⅢA기 13명(11.7%), ⅢB와 C기 14명(12.6%)이었다. 평균 32.4개월간 추적했더니, 7명(6.3%)이 국소부위 재발을 보였다. 5명(4.5%)은 원격전이 상태를 보였다.
수술 5년 후, 전체 환자의 76.2%가 생존했으며, 5년 생존율은 Ⅰ기 89%, Ⅱ기 75%, ⅢA기 78%였다. 수술 후 5년까지 전체 환자의 79.4%가 재발을 보이지 않았다. 5년 무병 생존율은Ⅰ기 96.2%, Ⅱ기 80.1%, ⅢA기 79.5% 였다. 이러한 성적은 기존에 보고된 생존율보다 월등하게 높은 결과이다.
연구를 진행한 김대준 교수는 “기존에 발표된 미국-유럽 식도평편상피세포암 환자 생존율보다 월등히 우수한 성적을 거둔 것은 로봇수술기 장점을 최대한 활용해 전이가 쉽게 일어나는 식도주변 림프절까지 세밀하게 제거한 결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김 교수는 “일반적인 암종류와 같이 미국이나 유럽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수술방법을 정하기 보다는 동양인의 식도편평상피암 특성에 맞춰 광범위한 림프절 박리술을 적용함이 중요하다"며 "Ⅰ, Ⅱ기는 물론 ⅢA기에 해당되더라도 완치를 기대할 확률이 높기에 치료를 적극적으로 받으려는 자세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이번 논문이 식도암 치료에 로봇수술기를 적용시킨 후 장기간 추적 관찰을 통해 환자의 생존율과 재발율을 밝혀낸 최초의 논문이라 향후 관련 질환 치료에 기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연구결과는 미국 흉부외과학회지(Annals of Thoracic Surgery) 최신호에 게재됐다.
출처 :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4/14/2017041401833.html
'종류별 암 > 기타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아침 애연가 두경부암 위험 높아. (0) | 2017.04.21 |
---|---|
[스크랩] 기상 직후 흡연하면 `두경부암` 위험 급증… 의심 증상은? (0) | 2017.04.21 |
[스크랩] 장기간 과체중, 식도암 위험 `3배`… 이유는? (0) | 2017.03.19 |
[스크랩] 부신암의 진단과 치료에 관하여 (0) | 2017.03.12 |
[스크랩] 두경부암 발생 부위는? (0) | 2017.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