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두통이 비만 또는 저체중과 관련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편두통은 머리의 한쪽에서 나타나는 두통으로, 맥박이 뛰는 것에 맞춰 지끈거리는 통증이 나타난다.
미국 존스 홉킨스대학 의대 두통 연구실장 리 퍼터린 박사는 비만이나 심한 체중 감소가 편두통 위험을 높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퍼터린 박사는 지금까지 발표된 편두통 관련 연구논문 12편(총 연구대상자 28만8981명)을 종합분석했다. 분석 결과, 체질량지수(BMI·비만도 측정을 위해 몸무게를 키의 제곱으로 나눈 값)가 30 이상인 비만한 사람은 정상(25~29.9)인 사람보다 편두통 발생률이 27%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BMI가 18.5 이하로 저체중인 사람은 정상인 사람보다 편두통 발생률이 13% 높았다.
퍼터린 박사에 따르면 이처럼 몸무게가 편두통 위험과 관련이 있는 이유는 정확하게 알 수 없지만, 지방조직도 내분비 기관인 만큼 갑상선 같은 다른 내분비 기관처럼 호르몬을 너무 많이 분비하거나 너무 적게 분비해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몸무게가 지나치게 늘거나 줄 때 나타나는 지방조직의 변화로 인해 호르몬·단백질 분비가 달라지면, 몸 안의 염증 환경에도 변화가 생겨 편두통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퍼터린 박사는 이 결과가 보여주는 것은 편두통과 과체중·저체중 사이에 어떤 관련이 있다는 것일 뿐 명확한 인과관계가 성립된다는 말은 아니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고도 비만이던 편두통 환자가 몸무게를 줄이는 배리아트릭 수술(소화관 변형 수술)을 받은 뒤에는 편두통 빈도가 50% 줄었던 사례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유산소 운동이 편두통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이에 뉴욕 몬테피오레 두통 센터 돈 뷰스 실장은 자신이 치료하는 환자 중에는 몸무게가 늘면 편두통이 잦아지고 몸무게가 줄면 편두통도 줄어드는 환자가 많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 신경학회학술지 '신경학(Neurology)'에 게재됐다.
출처 :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4/13/2017041302124.html
'질병 > 그밖의 중요 질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요실금 방치하면 `이런 질환` 생겨… 예방하려면? (0) | 2017.04.17 |
---|---|
[스크랩] 소화불량, 약 먹어도 안 나으면? 담석증·맹장염·췌장염 의심 (0) | 2017.04.17 |
[스크랩] 겨울보다 위험한 `봄철 심혈관질환`… 노인·여성 특히 주의 (0) | 2017.04.13 |
[스크랩] 등 한가운데 쥐어짜듯 아프면 `췌장염`… 갈비뼈 아래 아프면? (0) | 2017.04.13 |
[스크랩] 중년 고혈압·당뇨병, 노년 치매 위험 높인다 (0) | 2017.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