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건강기능식품판매업자에 대해서도 안전성 또는 기능성에 문제가 있거나 품질에 이상이 있는 건강기능식품에 대한 자진회수가 의무화된다.
- ▲ 출처:의학신문
10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 따르면 건강기능식품을 섭취하고 같은 피해를 입은 소비자가 위생검사를 요청할 수 있도록 신청방법 및 처리절차를 규정하는 것을 뼈대로 하는 이 같은 내용의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을 지난 7일 공포, 시행했다.
이번 시행은 건기식품에 대한 안전관리를 강화하는 한편 안전과 무관한 규제는 해소해 건기식품 산업의 건전한 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것이라는 게 식약처의 설명이다.
이번 개정 시행규칙 주요 내용은 △소비자가 위생검사를 요청할 수 있는 시험·검사기관 규정 △건강기능식품판매업 영업자 교육 정비 △건강기능식품이력추적관리 등록대상자 확대 △건강기능식품 판매업자 문제제품 자진회수 의무 신설 △품목제조신고 시 검사성적서 인정조항 개선 △건강기능식품영업 폐업신고 일원화 △기능성 원료·성분 인정 신청자 확대 △품질관리실 공동이용범위 확대 등이다.
소비자 20명 이상이 동일한 건강기능식품을 섭취하고 동일한 이상사례가 발생했을 때 해당 제품과 제조시설에 위생검사를 요청할 수 있도록 하는 '소비자 위생검사 요청제'의 신청방법과 처리 절차를 구체적으로 마련, 소비자 권리를 보호하고 안전성 관리를 강화토록 했다.
'소비자 위생검사요청제'는 같은 품목을 섭취하고 같은 피해를 입은 소비자가 20명 이상 발생했을 때, 피해 소비자의 대표 또는 소비자단체의 장의 위생검사 요청에 따라 소비자 피해 사실 확인을 위해 건강기능식품 제조시설과 위생상태를 조사하고 생산제품을 수거하여 검사하는 제도를 말한다.
또한 건기식품 이력추적관리 대상을 연 매출액 10억 이상에서 연 매출액 1억 이상으로 확대하고, 건강기능식품판매업자에 대해서도 건기식품의 안전성 또는 기능성에 문제가 있거나 품질 이상을 확인한 경우 해당 제품을 회수토록 의무조항을 신설했다.
우수건강기능식품제조기준(GMP)을 준수하면서 품질관리실을 두고 있는 업체에 대해서는 품목제조신고 시 자체 검사성적서도 인정하도록 하였으며, 화장품·축산물·계열사연구소·같은 영업자 품질관리실까지 공동으로 이용 할 수 있도록 범위를 확대했다.
홍헌우 식약처 건강기능식품정책과장은 "앞으로도 소비자 권익을 보호하고 건강기능식품 안전관리 강화하는 동시에 건강기능 산업의 발전을 저해하는 규제는 합리적으로 개선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의학신문 의학신문 홍성익 기자 hongsi@bosa.co.kr
출처 : http://health.chosun.com/news/dailynews_view.jsp?mn_idx=180628
'암치유에 도움 > 건강기능식품'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중년·노인들 골절 예방하려면 `마그네슘` 보충하세요 (0) | 2017.04.17 |
---|---|
[스크랩] 베타카로틴 영양제, 방광암 발생률 높여 (0) | 2017.04.13 |
[스크랩] 건강기능식품협회, 판매업자 안전위생교육 실시 (0) | 2017.04.11 |
[스크랩] 항염 효과 높은 초록입홍합 오일, 관절염 완화에 도움 (0) | 2017.04.11 |
[스크랩] `장수 국가` 쿠바의 건강 비결, 콜레스테롤 낮추는 폴리코사놀 (0) | 2017.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