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암은 국내에서 발생률 2위, 사망률 3위인 암이다. 우리나라에서 가장 흔하면서도 국민건강에 큰 영향을 끼치고 있는 암이기 때문에 조기검진을 국가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덕분에 전신 마취나 개복 수술 없이 내시경만으로 위암을 제거할 수 있게 돼 완치와 삶의 질 향상 목표 달성이 가능해졌다.
조기 위암 환자의 83%가 50대 이상
강동경희대병원 전정원 소화기내과 교수는 강동경희대병원 조기위암 수술 환자 881명을 분석했다. 그 결과, 60대가 34%(296명)으로 가장 많았고, 50대 이상이 전체 83%(750명)를 차지했다. 이 결과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 국민관심질병 조기위암 통계자료에서도 유의하게 나타났다. 2011년 5만1584명에서 2015년 7만1564명으로 5년 새 약 39% 증가했다. 또한 2015년 기준 60대가 31%(2만2245명)으로 가장 많았고 70대와 50대가 그 뒤를 이었다. 위암은 발병률도 높지만 완치율도 높다. 조기에 발견하여 치료하면 90% 이상 생존율을 보이고 있다. 최근 조기 위암 치료의 경우 내시경 점막하 절제술을 통해 위를 잘라내지 않고 내시경만으로 암 덩어리만 제거한다. 전정원 교수는 “위암을 조기에 발견할 경우 생존률이 높아짐은 물론 큰 수술 없이 내시경만으로 암 부위면 제거할 수 있다”며 “최근 여러 연구 통해서 내시경 점막하 절제술이 위 수술과 비교해 큰 차이가 없음이 밝혀지고 있다”고 말했다.
내시경절제술, 합병증 적고 회복 빨라
내시경 점막하 절제술이란 내시경을 통해 기구를 위 속으로 넣어 암 세포가 있는 위 점막을 부풀려서 내시경 절개도를 이용해 병변 주위 점막을 절개한다. 쉽게 말하자면 병변 부위를 생선회 뜨듯 벗겨내 위벽에서 암 덩어리를 잘라내는 시술 방법이다. 위의 3분의 2 이상을 잘라내는 외과적 수술에 비해 내시경 점막하 절제술은 외과적 수술과 똑같은 치료효과를 낸다. 개복과 전신 마취 없이 수면 상태에서 시술되기 때문에 수술 합병증 발생을 낮추고 빠른 회복이 가능해 가장 안전한 조기 위암 치료법으로 꼽히고 있다. 전정원 교수는 “내시경으로 치료하기 때문에 외과 수술에 비해 흉터가 전혀 남지 않고, 입원 기간이 짧아 환자의 시간과 치료비가 큰 폭으로 절감되는 장점이 있다”며 “이미 전 세계적으로 림프절 전이가 없는 조기 위암에서 우수한 치료법으로 인정받고 있어 위암 완치와 환자 삶의 질 향상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생각된다”고 말했다.
한편, 강동경희대병원 소화기내과는 연 100회 이상 내시경 점막하 절제술로 조기위암을 완벽히 제거하고 있다. 또한 환자의 생존율 향상과 삶의 질 극대화를 위해 환자맞춤 치료와 함께 전문 영양사의 식사와 영양교육을 실시해 환자의 빠른 쾌유를 돕고 있다.
<위암 내시경절제술 후 주의 사항>
1. 규칙적인 식사를 하고, 자극적인 음식 피하기
2. 과음을 피하고, 금연하기
3. 1년에 한 번씩 정기적으로 위내시경 검사 받기
출처 :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7/03/16/2017031601576.html
'종류별 암 > 위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국내 병원 위암 치료 수준 ‘상향’ 됐다 (0) | 2017.03.27 |
---|---|
[스크랩] 위암 (0) | 2017.03.27 |
[스크랩] ‘위암 발병원인’ 나이·성별 따라 달라 (0) | 2017.03.12 |
[스크랩] 간 또는 복막 전이가 동반된 위암의 치료 (0) | 2017.03.08 |
[스크랩] 위암2기 (위전절제) 수술 후 회복중이신 아버지.. 항암 조언좀 부탁해요 ^^ (0) | 2017.03.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