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형 간염은 바이러스 대응을 위한 신체 면역반응 때문에 간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을 말한다. C형 간염은 C형 간염 바이러스에 감염된 혈액 등 체액에 의해 감염된다. 성적인 접촉이나 수혈, 혈액을 이용한 의약품, 오염된 주사기의 재사용, 소독되지 않은 침의 사용, 피어싱, 문신을 개시는 과정 등에서 감염될 수 있다.
신현필 강동경희대병원 소화기내과 교수는 “불행하게도 아직까지 C형 간염은 백신이 개발되지 않아 한 번 감염되면 만성 C형 간염으로 진행된다”며 “만성화 될 경우 간경변증 및 간암으로 커져 사망에 이를 수 있다”고 말했다.
◇C형 간염 핵심은 예방
쉽게 피로해지고, 입맛도 없어지고, 오심과 구토가 생기면 C형 간염을 의심해 볼 수 있다. 이 때 혈액검사를 통해 간염의 여부와 중증도를 확인한다. 만약 간염임에도 불구하고 C형 간염 바이러스가 검출되지 않은 경우 A형이나 B형 간염 바이러스 감염 여부 확인을 위해 추가 검사를 시행할 수 있다.
C형 간염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예방이다. C형 간염 바이러스는 체액을 통해 전파되므로 주사기는 반드시 1회용을 사용해야 하고, 성적 접촉 시에는 콘돔을 사용해야 한다. 침을 맞거나 문신과 피어싱을 할 때에 반드시 소독된 도구를 사용해야한다. 그 외에 면도기, 칫솔, 손톱깍기 등 혈액에 오염될 수 있는 모든 물건이 간염을 전파시킬 가능성이 있음을 인식하고 주의해야 한다.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8/26/2016082602122.html
'질병 > 그밖의 중요 질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백신 없는 C형 간염, 예방은 어떻게 해야 할까? (0) | 2016.09.01 |
---|---|
[스크랩] 말기신부전 예측 가능해졌다 (0) | 2016.09.01 |
[스크랩] 일반적인 치매란 증상 다른, 혈관성 치매란 (0) | 2016.08.29 |
[스크랩] 숨 쉴 때마다 전기 오르듯 찌릿한 `늑간신경통`이란? (0) | 2016.08.26 |
[스크랩] 무더위에 흔한 요로 감염... 이유없이 열나면 의심 (0) | 2016.08.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