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질병/당뇨교실

[스크랩] 임신성 당뇨병 겪었다면, 분만 후에도 주의해야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16. 8. 26.

임신한 여성의 모습

임신성 당뇨병에 걸렸던 사람들은 분만 후에도 당뇨병이 발생할 위험이 높으므로 각별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사진=조선일보 DB

임신 중 당뇨병을 겪었다면, 출산 후에도 건강 관리에 더욱 신경써야 한다. 임신부들은 태아에서 분비되는 호르몬에 의해 혈당을 낮추는 인슐린 기능 저하로 임신성 당뇨병이 생길 수 있다. 인슐린의 기능이 떨어지면 세포가 포도당을 효과적으로 사용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임신성당뇨병은 임신부의 2~3% 정도가 겪는데, 보통 혈당을 낮추는 인슐린 효과가 감소하는 임신 24~28주에 잘 생긴다. 다산, 가족력, 비만 등이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으며, 30대 이상의 임신부에서 잘 생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실제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통계 자료에 따르면 2015년 임신성 당뇨병으로 진료를 받은 인원이 67,854명에 달했는데, 이 중 77.7%가 30대였다.

임신성 당뇨병이 발생하면 임신 중 양수과다증이나 난산, 임신 중독증 등이 유발되기 쉽다. 그런데 임신성 당뇨병 환자는 다음 임신 때도 임신성 당뇨병이 발생할 위험이 높고, 5~15년 안에 제 2형 당뇨병으로 이환되는 경우가 많아 주의해야 한다. 실제로 임신성 당뇨병을 겪은 산모 중 40~60%가 5~15년 안에 제2형 당뇨병 진단을 받았다. 제2형 당뇨병은 췌장의 기능이 원래부터 원활하지 않아 발생하는 제1형 당뇨병과 달리, 특정 이유로 몸의 인슐린 작용이 저하돼 발병하는 당뇨병이다.

따라서 임신성 당뇨병을 겪었던 임신부들은 분만 후에도 당 대사가 정상적인지 여부를 검사하는 경구당부하검사를 꾸준히 받는 것이 좋다. 분만 후 6~8주 이후부터 검사를 시작해 매년 받는 것이 좋다. 또한 항상 적정 체중을 유지하고 규칙적인 운동 및 식사를 해 당뇨병 위험인자를 줄이는 등 건강 관리에 각별히 신경 써야 한다.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8/19/2016081902276.html

출처 : 암정복 그날까지
글쓴이 : 정운봉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