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이 계속되면서 바이러스에 의해 뇌와 척수를 둘러싸고 있는 뇌수막에 염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무균성 뇌수막염이라고도 불리는 ‘바이러스 수막염’이 늘고 있다. 바이러스 수막염은 바이러스가 뇌와 척수를 싸고 있는 막(뇌수막)에 염증을 일으키는 질환이다. 초기 증상이 감기와 비슷해 혼동하기도 한다.
바이러스 수막염은 특별한 치료 없이 자연적으로 호전되기도 한다. 그러나 열과 두통, 구토 증세가 동반되면 이를 완화시키는 치료가 필요하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최근 5년간 (2011~2015년)의 건강보험 및 의료급여 심사결정 자료에서 나타난 바이러스 수막염 진료 추이를 살펴보면, 진료인원은 연 평균 약 1만5000명이다.
2015년에는 약 1만6000명이 진료를 받았으며, 총 진료비는 2015년 기준 약 80억원으로 최근 5년 중 가장 많았는데, 이는 입원 진료가 증가하면서 진료비가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바이러스 수막염 진료인원 2명 중 1명은 10세 미만 아동이었으며, 2015년에는 약 60%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2015년 기준 진료인원이 가장 많은 연령구간은 10세 미만 아동으로 전체 진료인원의 59.2%를 차지하였으며, 10대 17.0% > 30대 8.1% > 20대 6.3% 순으로 많았다. 바이러스 수막염 진료인원을 월별로 살펴보면 7~9월에 진료인원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주로 10세 미만 진료인원이 증가하였다.
진료인원이 많은 10세 미만은 여름철에 크게 증가하면서 전체 진료인원(월별) 중 차지하는 비중이 약 70%까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바이러스 수막염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의 종류는 매우 다양하다. 주로 엔테로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하며, 감염된 사람의 침, 콧물, 가래 및 분변에 접촉하거나 이에 오염된 물품을 통해 전염된다. 주요 초기 증상은 발열, 구역, 두통 등으로 감기와 비슷하며, 건강한 사람의 경우 특별한 치료 없이 회복되기도 하나, 열·두통·구토 증세가 지속되면 이를 완화시키는 치료가 필요하며 보통 2주 이내에 회복된다.
건강한 사람에게는 비교적 가벼운 질환으로 진단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할 수도 있지만 면역력이 약한 영·유아나 노인의 경우 드물게 합병증이 발생하기도 하므로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다.
한편 세균성 수막염은 폐렴구균, 인플루엔자간균, 수막구균 등에 의해 주로 발생한다. 초기 증상은 바이러스 수막염과 비슷하지만 증세가 급속도로 악화되어 심한 신경학적 후유증을 남기거나 사망에 이를 수도 있으며, 즉시 항생제 치료를 해야 한다. 특히 수막구균이 일으키는 수막구균성 수막염 등 수막구균성 질환은 초기 증상이 독감과 비슷해 조기에 진단이 어렵다. 발병 후 24시간 내 사망에 이를 수 있고, 치사율도 9~12%에 이를 정도로 위험한 질환이기도 하다.
환자는 전 세계적으로 매년 50만명이 발생하고, 약 7만 5천명이 사망한다. 또한 수막구균 감염 후 생존하더라도 11~19%에서 난청, 신경학적 장애, 사지절단, 피부 흉터 등의 후유증이 남을 수 있다. 이에 질병관리본부에서는 수막구균성 뇌수막염을 법정전염병으로 지정해 감염 현황을 감시하고 있다. 또한, 수막구균성 뇌수막염은 단체생활을 하는 아이들, 기숙사생, 군인에서 발병 위험이 높고, 최근에는 국제교류가 활발해지면서 국내 발병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질병관리본부 자료에 따르면, 88올림픽과 한일월드컵이 열렸던 1988년과 2002~3년에 환자 수가 각각 42명, 27명, 38명으로 예년보다 3~4배 이상 급격히 증가한 바 있다.
세균성 수막염 예방접종 중 인플루엔자간균은 2013년 3월, 폐렴구균은 2014년 5월부터 국가 필수 예방접종에 포함되었으며, 생후 2개월에서 59개월 유아는 의사와 상의하여 예방접종을 받아야 한다. 수막구균 접종은 국가 필수예방접종이 포함되어 있지 않으나, 질환의 위험성과 치명성 때문에 미국, 프랑스, 영국 등 전 세계 33개국에서 국가 필수 예방접종에 수막구균 백신을 포함하며 영유아와 청소년을 대상으로 예방접종을 지원하고 있다. 국내는 메낙트라등 2종의 수막구균 백신이 허가되어 접종이 가능하다. 그 중 메낙트라는 생후 9개월부터 만 55세까지 아시아에서 많이 발생하는 혈청형 A를 포함한 주요 4가지 수막구균 (A,C,Y,W-135)을 예방하는 4가 단백접합백신으로, 국내에 도입된 수막구균 4가 단백접합백신 중 생후 9개월~23개월에서 유일하게 혈청형 A에 대한 효능효과를 입증 받았다. 생후 9개월~23개월은 3개월 간격으로 2회 접종하고, 만 2세~만 55세는 1회 접종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하상미 상근심사위원은 “바이러스 수막염은 별도의 예방접종이 없어 개인위생에 각별히 신경 써야 한다. 특히, 아이들이 많이 모여 있는 어린이집, 학교 등에서는 손 씻기 등 개인위생 교육을 강화하고, 세정제를 이용하여 공용 물품이나 실내를 자주 청소해주는 것이 좋다.”고 밝혔다.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8/18/2016081802896.html
'일반 건강상식 > 일반 건강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Q. `미다졸람` 등 진정내시경 마취제, 적정 사용량은? 흔들어 깨우면 일어나야… 깊은 수면은 호흡 마비 위험 (0) | 2016.08.26 |
---|---|
[스크랩] 건강한 혈관 만들기 5계명..."콜레스테롤 수치 관리 중요" (0) | 2016.08.26 |
[스크랩] 가면 우울증, 방치하다간… (0) | 2016.08.22 |
[스크랩] 스트레스 받을 때 나는 땀, 지방·세포 섞여 있어 악취 (0) | 2016.08.19 |
[스크랩] [카드뉴스] 오행을 따르는 여자가 건강하다 (0) | 2016.08.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