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개](http://health.chosun.com/site/data/img_dir/2016/03/25/2016032502590_0.jpg)
황사와 미세먼지 등이 기승을 부리면서 봄철 건강관리에 비상등이 켜졌다. 이 같은 봄철 유해환경은 천식, 기관지염, 비염 등 각종 알레르기 및 호흡기 질환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므로, 이를 예방하기 위한 필수 요건인 일상에서의 세심한 위생관리가 요구된다.
자생한방병원 유한길 원장은 “봄철 미세먼지 및 황사로 인해 발생하기 쉬운 호흡기 및 알레르기 질환으로부터 우리 몸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바깥 활동 시의 대비뿐 아니라 하루의 3분의1 이상 동안 피부와 직접 맞닿는 침구를 청결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뿐만 아니라 침구는 날이 따뜻해지면서 집먼지 진드기가 활발히 번식하는 이상적인 장소가 되므로 위생관리에 더욱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외부 유해환경 속에서 봄 건강 지키는 필수 요소인 봄철 침구 관리법에 대해 알아본다.
# 정기적인 세탁과 건조는 침구 관리의 기본
수면 중 흘리는 땀은 세균이 쉽게 번식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므로, 청결한 침구 관리를 위해서는 물세탁이 가능한 소재의 이불 커버나 베갯잇 등은 정기적으로 세탁 후 완전히 건조시켜주는 것이 필수다. 물세탁을 할 때는 차가운 물 보다 60도 이상의 온수를 사용해야 세균 박멸에 도움이 되며, 세탁 후 건조 시에는 햇빛이 가장 강하게 내리쬐는 오후 2시 정도의 시간대에 바람이 잘 통하는 장소에 널어두는 것이 좋다. 물세탁이 불가능한 소재는 침구 전용 청소기를 활용하는 것도 효과적이며, 보다 손쉬운 침구 관리를 위해서는 항균효과가 있는 소재의 기능성 침구 제품을 선택하는 것도 방법이다.
# 부지런한 일광소독 및 실내 환기도 중요
평상시 부지런한 위생관리도 중요하다. 틈틈이 베개와 이불, 매트리스 등을 강도 높게 털어 주고 일주일에 한 번 정도 햇볕에 30분 이상 쬐어주는 것도 살균에 효과적이다. 공기 순환이 활발해지는 낮 시간대를 활용해 집안 전체를 환기시켜주는 것도 중요한데, 창문을 모두 열어 맞바람이 불게 하고 5분 정도 유지하면 된다. 황사가 심한 날엔 창문이 아닌 현관문을 통해 환기시켜주는 것이 좋고, 실내에 공기 정화 기능이 있는 식물을 두는 것도 도움된다.
# 외출 후 개인 위생관리도 꼼꼼히 해야
미세먼지나 황사가 심한 날에는 개인의 위생관리도 더욱 철저히 해야 한다. 기본적으로 손을 자주 꼼꼼히 씻고, 외출 후 집에 돌아왔을 때는 몸에 붙은 먼지나 세균 등을 말끔히 제거하기 위해 구석구석 꼼꼼하게 머리를 감고 샤워를 하며 깨끗한 옷으로 즉시 갈아입어야 한다. 특히 몸이나 옷에 묻은 유해물질들이 침구에 떨어질 경우 수면 중 호흡기로 유입될 수 있으므로, 외출 후 침실 공간에 들어갈 때는 청결 상태에 각별히 신경 써야 한다.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3/25/2016032502675.html
'일반 건강상식 >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금연하세요" 정부, 담뱃갑 경고그림 시안 최초 공개 (0) | 2016.04.03 |
---|---|
[스크랩] 화이자 프리스틱, 우울장애에 대한 내약성과 효과 확인 (0) | 2016.03.31 |
[스크랩] 필요하신 분들에게 자료제공-널리 활용하세요 (0) | 2016.03.29 |
[스크랩] 황사 마스크 사용법, 최대한 코에 밀착시키고 세탁 삼가야 (0) | 2016.03.27 |
[스크랩] 꽃 피기 시작하니 여기저기서 엣취…“알레르기성 비염 주의보” (0) | 2016.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