콧물·코막힘 2주이상 계속된다면
꽃피는 춘 3월과 4월은 누구에게나 행복을 주는 계절이다. 그러나 알레르기성 비염을 앓는 이들에게는 이맘때가 가장 고통스러운 계절이기도 하다. 시도때도 없이 콧물이 줄줄 흐르고 재채기를 하는 통에 괴롭기만 하다. 알레르기성 비염은 콧물, 코막힘, 재채기 등 초기 증상이 감기와 비슷해 병은 키우는 경우가 많다. 2주 이상 감기증세가 계속되면 알레르기성비염을 의심해봐야된다. 알레르기성 비염의 원인과 증상, 치료법에 대해 알아본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자료에 따르면, 2009년~2013년 사이 알레르기성 비염 상반기 진료인원은 황사가 심한 3월에 평균 20.4%로 크게 증가해 5월부터 감소(평균 -9.4%)추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알레르기성 비염은 세계적으로 증가되는 추세인데 전 인구의 5~20% 정도가 이 병을 앓고 있을 정도로 흔한 병이다.
◇콧속에서 과민반응 일으켜 나타나
알레르기성 비염은 어떤 물질(원인항원)에 대하여 코의 속살이 과민반응을 일으켜 발작적이고 반복적인 재채기, 맑은 콧물, 코막힘, 코 가려움증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병이다. 환자들 대부분은 감기와 증상이 비슷해 가볍게 생각하다 병을 키우는 경우가 많다. 콧물·코막힘·재채기 등 증상이 2주 이상 지속한다면 해당 질환을 의심해봐야 한다. 알레르기성 비염, 기관지천식 같은 호흡기 알레르기 질환을 일으키는 물질을 흡입성 알레르겐이라 한다.
알레르겐은 실내에 존재하는 것도 있고 실외에 존재하는 것도 있으며, 일년 내내 공기 중에 존재하는 것도 있고 특정 계절에만 공기 중에 존재하는 것도 있다. 일년 내내 알레르기 증상을 일으키는 것으로는 집먼지 진드기, 실내에서 기르는 동물의 비듬, 바퀴벌레 분비물 등이다. 집먼지 진드기는 알레르기 질환을 일으키는 가장 중요한 원인이 되는 알레르겐이다. 집먼지 진드기는 사람 몸에서 떨어져 나온 비듬이 주된 먹이이므로 주로 침구, 거실의 천 소파, 카펫 같은 곳에 집중적으로 분포한다. 또 개와 고양이 같은 동물의 몸에서 떨어져 나온 비듬은 아주 작은 입자로 공기 중에 떠다니다가 코를 통해 폐로 유입되어 알레르기 증상을 일으킨다.
계절성 알레르기성 비염을 일으키는 가장 중요한 원인 물질이 계절성 알레르겐, 즉 꽃가루다. 특히 봄과 가을에 심한 알레르기 비염 증상을 유발하게 됩니다. 관상용으로 쓰는 화려한 식물은 그 꽃가루가 곤충에 의해 옮겨지는 충매화로 보통 알레르기를 유발하지 않는다.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식물은 나무, 잔디, 잡초 같은 식물들로 그 꽃가루가 바람에 의해 퍼지는 풍매화다. 초봄에는 주로 오리나무, 참나무, 자작나무, 느릅나무, 측백나무, 소나무, 개암나무, 버드나무 등의 나무 꽃가루가 날리며 알레르기를 일으킨다.
◇재채기, 콧물, 가려움 등 다양한 증상 호소
알레르기성 비염의 증상에는 재채기, 코막힘, 콧물, 코나 입천정, 목, 눈, 귀의 가려움, 코막힘, 후각 감소 등이다. 재채기, 맑은 콧물, 코막힘의 증상이 있으면 알레르기비염을 의심할 수 있다. 콧속을 검사해 보면 콧살이 창백하고 부어 있는 경우가 많고 콧물이 맑은 편이다. 누런 콧물이 나온다면 축농증이 동반된 경우가 많으므로 주의해야다.
◇약물요법과 면역요법 등 본인에게 맞는 치료법 선택해야
약물요법은 항히스타민제 알약과 항히스타민 코분무기가 있다. 류코트리엔 수용체 길항제 알레르기 증상과 염증반의 또 다른 중요한 매개체인 류코트리엔의 작용을 억제하는 약이다. 알레르기비염의 증상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스테로이드 코분무기 코에 염증반응을 유발할 수 있는 여러 종류의 매개체들의 작용을 억제한다. 코 가려움, 재채기, 콧물, 그리고 코막힘과 같은 알레르기비염의 모든 증상을 개선시킬 수 있다. 스테로이드 코분무기는 알레르기성 비염의 치료에 사용 가능한 가장 강력한 약제다. 비점막 수축제는 알레르기비염 환자의 코막힘 증상이 다른 약물에 의해 호전되지 않을 때 도움이 된다. 코분무기 형태의 비점막수축제는 부작용으로 인해 오랜 기간 사용해서는 안 된다.
알레르기 면역요법은 증상이 지속되는 경우 고려해 볼 수 있다. 면역요법은 원인이 되는 알레르기 항원을 최소량부터 시작해 점차 농도를 올려 가며 피하로 주사하는 치료법다. 알레르기 전문가에 의해서 적절하게 선별된 환자에게서 시행해야 한다. 수술치료는 일정 기간 약물치료를 시도하여 반응이 없거나 좋지 않은 경우 수술적인 치료를 고려해 볼 수 있다. 수술요법은 약물에 반응하지 않는 만성적인 하비갑개의 비후에 대하여 비갑개의 부피감소를 위해 여러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 건강상식 >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필요하신 분들에게 자료제공-널리 활용하세요 (0) | 2016.03.29 |
---|---|
[스크랩] 황사 마스크 사용법, 최대한 코에 밀착시키고 세탁 삼가야 (0) | 2016.03.27 |
[스크랩] 백세 장수는 뱃속이 따뜻해야 (0) | 2016.03.27 |
[스크랩] 건강염려증에 관하여.. (0) | 2016.03.23 |
[스크랩] `이 것` 색깔이 평소와 다르다?…“질병 신호일 수 있어” (0) | 2016.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