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기온이 영하 6.4도를 기록하며 강추위가 찾아오면서, 이 시기에 주로 나타나는 한랭두드러기 특징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한랭두드러기 특징은 찬 공기나 찬물에 피부가 노출된 뒤 피부가 다시 더운 온도에 노출될 때 피부에 두드러기가 발생하는 것이다. 전체 물리적 두드러기의 3~5%를 차지하는 한랭두드러기 특징에 대해 알아본다.
◇차가운 자극에 노출되면 저혈압, 어지러움 생겨
한랭 두드러기는 크게 세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주로 소아와 젊은 성인에게 발생하는 '원발성 후천성 한랭 두드러기'는 피부에 차가운 자극을 주면 몇 분 뒤부터 30~1시간가량 간지러운 느낌이 지속된다. 차가운 온도에 전신이 노출되면 저혈압, 어지러움, 쇼크 등의 증상이 나타나며 심하면 사망에 이를 수 있다. '속발성 후천성 한랭 두드러기'는 한랭 두드러기 환자의 약 5%에서 발생한다. 두드러기가 24시간 이상 지속되고, 피부가 붉거나 보라색으로 변하기도 한다. '반사성 한랭 두드러기'는 국소 부위가 차가운 외부 자극에 노출됐을 때는 두드러기가 생기지 않지만, 전신이 노출되면 광범위한 두드러기가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얼음 이용해 한랭두드러기 유무 확인해야
한랭 두드러기는 명확한 원인이 밝혀지지 않아 아직 치료법이 없다. 한랭 두드러기 증상이 나타나면 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해 증상을 완화하는 것이 최선이다. 또한 얼음덩어리를 2분간 팔에 올려놓거나, 10분간 찬 공기를 쐰 후 두드러기가 생기는지 확인해서 만약 자신이 한랭두드러기가 있다면 평소에 주의하는 것이 좋다.
한랭두드러기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실내 온도를 18~20℃, 습도는 40%이상으로 유지하는 것이 좋다. 추운 날씨에 외부에 있다가 갑자기 더운 곳으로 가면 한랭두드러기가 발생할 수 있으니 삼간다. 추운 날씨에 외출을 할 때는 노출부위를 최소화하는 것이 좋다. 한랭두드러기는 주로 손이나 발에서 나타나므로 장갑을 끼고 양말이 젖었을 때는 갈아신는 것이 좋다. 손을 비벼 높은 온도를 유지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5/12/17/2015121701481.html
'일반 건강상식 > 일반 건강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폐경 후 다시 시작된 생리? 자궁근종으로 인한 증상일 수도 (0) | 2015.12.20 |
---|---|
[스크랩] 알레르기 천식의 원인, 겨울철에 심해지는 이유는? (0) | 2015.12.20 |
[스크랩] 추운 겨울, 유독 소화불량 잘 생기는 이유는? (0) | 2015.12.20 |
[스크랩] 당신을 살찌게 하는 집안환경 10가지 (0) | 2015.12.18 |
[스크랩] 까끌까끌하다 했더니, 눈에 돌이? (0) | 2015.1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