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오염의 주범인 초미세먼지가 호흡기질환뿐 아니라 급성심정지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오세일 교수 연구팀은 초미세먼지 농도와 급성심정지 발생률의 관계를 조사하기 위해 2006년 부터 2013년까지 서울에서 발생한 급성심정지 2만1509건을 당일 초미세먼지 농도와 함께 분석했다. 그 결과 초미세먼지 농도가 10μg/m3 증가할수록 급성심정지가 1.3%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초미세먼지는 농도가 높은 당일보다 1~2일 후에 급성심정지 발생 위험이 더 컸고, 여성보다는 남성이, 젊은 사람보다는 60세 이상 고령 인구에 더 위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세일 교수는 "초미세먼지는 지름이 2.5μm(마이크로미터, 1μm=1,000분의 1mm) 미만의 초미세 입자이기 때문에 호흡기 뿐 아니라 혈관에 흡수돼 뇌졸중이나 심장질환을 유발할 수 있다"며 "이 때문에 뇌졸중이나 심장질환의 최초 증상인 급성 심정지 발생 위험도 커지는 것"이라고 말했다.
급성심정지란 심장박동이 중지해 사망에 이르는 것으로, 국내에서는 연간 2만 5000~3만 건이 발생하는 가장 흔한 사망원인 중 하나다. 급성심정지의 주요 원인은 급성심근경색을 포함한 관상동맥질환이 있으며, 부정맥, 심부전 등 각종 심장질환의 최초 증상으로 나타날 수 있다. 하지만 급성심정지는 심장질환자뿐 아니라 평소 건강에 이상이 없던 사람에게도 갑자기 발생할 수 있어 사전에 위험 요인을 제대로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초미세먼지에 의한 급성심정지 위험을 낮추기 위해서는 초미세먼지 농도가 높은 날에는 가급적 외출을 자제하는 것이 좋다. 그런데 연구진에 따르면 국내 초미세먼지 환경 기준은 해외보다 높으며, 국내의 기준에서 '안전'하다고 생각되는 구간에서도 급성심정지 발생 위험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 초미세먼지 환경기준은 연평균 25μg/m3, 일평균 50μg/m3로 WHO 권고 기준인 연평균 10μg/m3, 미국의 환경 기준인 연평균 12μg/m3 보다 높다. 오세일 교수팀의 연구에 따르면 일평균 초미세먼지 농도가 50μg/m3 이상인 날은 10μg/m3 이하인 날보다 급성심정지 발생률이 무려 13% 증가했다. 오세일 교수는 "국내 기준에서 안전하다고 생각되는 10~15μg/m3도에서도 급성심정지 위험이 10μg/m3이하에 비해 높았다"며 "초미세먼지에 의한 급성심정지 발생 위험을 낮추기 위해서는 국내 초미세먼지 환경 기준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5/12/15/2015121501775.html
'일반 건강상식 > 일반 건강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자외선 차단제 바르는 법, 특히 신경 써야 할 부위는? (0) | 2015.12.18 |
---|---|
[스크랩] 종편 TV에서 검증한 화제의 건강법 (0) | 2015.12.18 |
[스크랩] 추워도 건강은 챙겨야…겨울에 위협적인 질환은? (0) | 2015.12.16 |
[스크랩] 알레르기 비염, 면역치료로 완치 가능해 (0) | 2015.12.16 |
[스크랩] 이번 겨울, 목감기로 고생하지 않으려면 지켜야할 것들 (0) | 2015.1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