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윤재원(37)씨는 어릴 때부터 비염이 있어 약을 오랫동안 복용해 왔지만, 약을 먹을 때만 일시적으로 증상이 완화되고 환절기만 되면 또다시 극심한 기침, 호흡곤란, 콧물, 재채기에 시달려 왔다. 작년 가을에는 비염 때문에 운전하다 심한 재채기로 앞차와 충돌 사고를 냈다. 증세가 심각하다고 생각한 윤 씨는 다시 병원을 찾았다. 병원에서 알레르기 근본 원인에 대해 검사한 결과, 윤 씨는 집먼지진드기에 양성 반응이 있는 알레르기 비염과 천식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사는 윤 씨에게 심한 콧물과 재채기 증상을 호전시키는 먹는 약 등을 처방하고, 알레르기의 근본 원인이 되는 집먼지진드기에 대한 저항을 높이기 위해 '피하면역 주사치료'를 시작했다. 그 후 1년, 윤 씨의 증상은 눈에 띄게 좋아져 천식약과 비염약을 모두 끊고, 콧물, 기침, 재채기도 없는 상태가 되었다.
알레르기 비염이나 천식 치료는 재발이 잦은 병이다. 중앙대병원 호흡기알레르기내과 정재우 교수는 "알레르기 질환은 단기간 치료 후 증상이 호전되면 완치되었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알레르기는 유전 또는 환경적 요인으로 생기기 때문에 근본 원인을 찾고 이를 없애는 치료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최근에는 이런 알레르기 질환을 근본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치료법인 면역요법에 대한 관심이 더욱 높아지고 있다. 면역요법은 알레르기 항원을 반복적으로 노출해 면역관용을 유도함으로써 알레르기질환을 치료하는 것으로 알레르기 비염을 완치할 수 있는 유일한 치료 방법이다.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원인 물질을 극소량부터 시작해 조금씩 양을 늘려 투여해 과민반응을 점차 줄여나가는 치료법으로, 예를 들어 꽃가루 알레르기가 있는 환자의 경우 꽃가루를 극소량부터 조금씩 용량을 늘려 장기간 주사를 맞으며 우리 몸의 면역체계가 이를 인지하고도 그냥 지나치게 되는 원리를 이용해 치료한다.
면역요법치료는 치료 방법에 따라 팔에 주사를 맞는 '피하면역요법'과 혀 밑에 약물을 떨어뜨리는 ‘설하면역요법’으로 나뉘는데, 피하면역요법은 주로 3~4개월에 걸쳐 약의 용량을 늘리며 매주 주사를 맞다가 이후 한 달에 한 번씩 주사를 맞으면 된다. 설하면역요법은 환자 자신이 혀 밑으로 매일 면역치료 용액을 떨어뜨리는 방식으로 집에서도 할 수 있고 부작용이 없다는 장점이 있지만, 꾸준히 실천하기가 어렵고 가격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면역요법은 80~90%의 환자에게서 수년간 지속적인 증상 개선 효과가 있는 치료법으로 알려졌다. 중앙대병원 호흡기알레르기내과 정재우 교수는 “면역요법은 알레르기 비염과 천식의 유일한 근본 치료법"이라며 "약 3년 이상 비교적 긴 시간을 투자해야 하지만, 알레르기 질환이 환자의 평생을 괴롭히는 질병임을 감안한다면 적극적으로 치료를 고려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5/12/11/2015121102365.html
'일반 건강상식 > 일반 건강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초미세먼지 농도 높을수록 급성심정지 발생 위험 커진다 (0) | 2015.12.18 |
---|---|
[스크랩] 추워도 건강은 챙겨야…겨울에 위협적인 질환은? (0) | 2015.12.16 |
[스크랩] 이번 겨울, 목감기로 고생하지 않으려면 지켜야할 것들 (0) | 2015.12.16 |
[스크랩] 약은 길눈 어두운 열쇠수리공이다 (0) | 2015.12.16 |
[스크랩] 치아가 무너지면 심장·폐·췌장도 위험하다 (0) | 2015.1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