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암치유에 도움/깨끗하고 좋은공기

[스크랩] 인체와산소3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15. 12. 14.

8. 산소의 흡수를 돕는 게르마늄

 

 게르마늄은 철이나 금(Au)·(Ag)·알루미늄(Al)처럼 물질을 구성하는 기본 요소인 원소이다. 게르마늄은 발견 자체가 하나의 소설같은 역사를 가지고 있다.

1869, 주기율표()를 만들었던 러시아의 화학자 멘델레예프(Mendeleev Dmitrii

Ivanovich : 1834.02.08.~ 1907.02.02.) 박사는 32번 기호를 비워두고, 장차 액화규소와 같은 물질이 발견되면 원자번호 32번을 붙이라는 말을 남겼다고 한다.

17년 후인 1886, 독일의 화학자인 C.빙클러와 A.브라이하우프트가 아지로다이트(argyrodite : 은광색) 속에서 미지(未知)의 물질을 발견하여 분석한 결과 이 물질이 액화규소라는 것이 판명되었다. 그래서 주기율표를 발표한 멘델레예프박사의 말대로 원자번호 32번에 기호를 붙이고, 라틴어로 독일이란 뜻의 게르마늄(Germanium)이라는 이름을 붙인 것이다.

게르마늄은 낮은 온도에서는 전기가 잘 통하지 않으나 높은 온도에서는 전기가 잘 통하는 반도체적 성질로 인해, 피부에 접촉하면 게르마늄 이온이 체내로 들어가 생명력을 높여주는 작용을 한다. 또한 체내로 들어간 게르마늄은 각종 유해물질과 함께 20~30시간 안에 몸 밖으로 배출되므로 중독이나 부작용이 전혀 없다는 장점이 있다.

무기게르마늄 입자가 사람의 피부와 접촉하게 되면, 외곽전자의 침투암(삼투압) 활동으로 피부조직 속으로 반도체 성질이 들어간다. 피하조직 속의 모세혈관까지 침투한 게르마늄은 혈관벽을 통해 혈관 속에 있는 전자를 이동시키며, 혈액정화 작용을 하여 혈액을 정상화시키고 과잉 전자 흐름을 방전시켜 통증을 완화시켜준다. 그러므로 게르마늄은 인체가 원활하게 산소를 흡수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체에 산소 흡수량을 높여주는 게르마늄이 많이 함유된 식품으로는 마늘이 잘 알려져 있다.

3월에는 양파를 먹고, 5월에는 마늘을 먹어라. 그러면 그 해의 나머지 기간 동안 의사들이 편안히 쉴 수 있을 것이다.라는 옛말처럼 마늘은 예나 지금이나 민간요법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건강식품인 것이다.

 

- 마늘의 효능

강한 살균작용

늘에는 살균작용을 하는 알리신(Allicin)'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 마늘 속에 함유된 알리신과 페니실린의 살균력을 비교해본 결과 무려 100:1이나 되었다고 하니, 알리신의 살균력이 얼마나 탁월한지 짐작할 수 있을 것이다. 알리신이라는 성분 때문에 마늘은 바이러스나 곰팡이, 대장균에 대한 살균효과가 뛰어나며, 감기·기관지염·소장염·대장염의 예방에도 탁월한 효능이 있다고 한다.

 

위장보호와 노화방지
마늘은 위를 건강하게 하고, 소화를 촉진시키는 작용을 한다. 마늘 속에 다량 함유된 알리신 성분이 세포의 노화를 막고, 부신피질호르몬 등의 분비를 촉진시키는 것이다.

한방에서도 맛은 맵고 성질은 따뜻하기 때문에 마늘은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해주고, 몸을 따뜻하게 하여 말초혈관을 확장시키는 작용을 한다고 한다. 따라서 손발이나 아랫배가 찬 사람이 마늘을 복용하면 좋은 효과를 보인다고 한다.

또 혈액순환을 촉진하여 신체의 면역기능을 강화시켜 주고, 혈중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동맥경화를 억제하는 효과도 뛰어나다고 한다. 서양의 자연요법 전문가들도 고혈압 환자에게 마늘과 파슬리를 혼합하여 먹게 한다고 한다.

 

9. 산소요법(Oxygen Therapy)

 

 산소를 이용한 치료법으로는 고압산소요법(hyperbaric oxygen therapy), 산화요법(oxidation therapy), 오존요법(ozone therapy) 등이 있다.

산소요법은 신체를 화학적으로 향상시켜 질병을 치료하고, 재활을 향상시키며, 전반적인 기능도 증진시킨다. 또한 산소요법은 바이러스·곰팡이·박테리아의 감염·순환기 질환·만성피로증후군·관절염·알레르기 등에 주로 사용된다.

 

(1) 고압산소요법(hyperbaric oxygen therapy)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는 일인용, 혹은 다인용 체임버(chamber)에 들어가 편안하게 누운 상태에서 100%의 산소를 흡입하게 된다. 치료 시간이나 횟수는 환자의 질병이나 증상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다.

이 요법은 산소의 공급과 운반, 이용을 증가시켜 여러 가지 형태의 치료과정을 증진시키고 병원체를 제거한다. 이 치료법은 감압병·공기색전증·일산화탄소 중독 등의 질병과 방사선 치료로 화상이나 손상을 입은 조직의 재생을 촉진시키기도 한다. 또한 골수염 같은 만성 감염성 질환의 치료에도 많이 이용된다.

 

(2) 오존요법(ozone therapy)

 오존(O3) 3개의 산소원자를 가지고 있는 물질로 산소(O2)가 자외선이나 강력한 전장(電場 ; 전기를 띤 물체 주위에 전기 작용이 존재하는 공간)에 노출될 때 발생한다. 어떤 경로로든 오존이 혈류로 들어오면 추가분의 산소원자를 방출함으로써 혈중 산소치를 높여준다.

오존은 주로 자가 혈액요법(autohemotherapy)이란 기법에 의해 공급되는데, 이것은 환자의 피를 일정량 뽑아 오존을 섞은 다음 다시 혈관 또는 근육으로 주사하는 방법이다.

 

(3) 산화요법(oxidation therapy)

 산화요법은 과산화수소(H202)를 이용하여 치료하는 방법을 말한다. 과산화수소는 상처가 났을 때 흔히 바르는 약제로 오존이 물과 접촉할 때 생긴다. 과산화수소는 대기 중이나 과일·야채·모유에도 함유되어 있다.

 

10. 산소요법에 수반되는 합병증

 

(1) 호흡의 억제와 정지

 산소결핍증 환자에게 고농도의 산소를 급히 흡입시키면, 호흡이 약해져서 몸에 이산화탄소가 모이게 되어 호흡이 정지될 수 있다.

이것은 산소결핍이 자극이 되어 호흡이 가능하던 것이 산소흡입에 의해 자극이 사라졌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이다. 이런 부작용을 예방하려면 먼저 저농도의 산소를 흡입시킨 후에 상태를 보아가면서 점차 산소의 농도를 높여주어야 한다.

 

(2) 산소중독

 고농도의 산소를 장시간 흡입시키면, 인두통(咽頭痛)·기침·흉통(胸痛)·호흡곤란 등이 일어난다. 이런 상태가 지속되면 폐에도 변화가 오는데, 이것이 바로 산소중독 증세이다. 따라서 산소 농도가 60% 이상인 상태에서는 절대로 장시간 흡입하지 말아야 한다.

 

(3) 미숙아망막증(未熟兒網膜症)

 미숙아로 출생한 유아는 치아노제<Cyanosis ; 피부나 점막 등에서 불그스름하게 보이는 부분, 특히 구순(口脣 ; 입술)·조상(爪床 ; 손톱으로 덮인 부분)··뺨 등이 남자색(藍紫色)으로 변해보이는 상태>나 호흡장애가 있으면 보육기 안에서 산소공급을 받게 된다. 그런데 이때 산소의 농도가 너무 높으면 망막의 혈관이 붓고 출혈이나 박리(剝離) 등의 증세가 나타나며, 강한 시력장애를 일으켜서 끝내는 시력상실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

이 병은 대개 출생 시의 체중이 1.5kg 이하이고, 임신 기간이 32주 이내의 미숙아에게 많이 나타나며, 발병률은 미숙아 전체 평균 3% 전후이다. 그러나 대부분은 자연치유가 되고, 장애를 남기는 것은 1%정도이다. 따라서 미숙아의 경우에는 안저검사(眼底檢査)를 자주하여 조기에 발견하여 조치해야 한다.

 

(4) 전신경련(全身痙攣)

 경련은 성질상 강직성인 것과 간헐성인 것으로 구별된다. 강직성인 것은 심한 지속성 근육수축으로 근육이 경직하고, 간헐성인 것은 근육의 수축과 이완이 반복되어 근육이 연속적으로 경련을 일으키는 증상이다. 경련은 대개 중추신경계의 질환으로 발생하는데, 구체적인 병명으로는 뇌종양·히스테리 등이 있고, 전염병이나 각종 중독에 의해서도 발작한다.

산소로 비롯된 경련은 1기압(atm)으로 발생하지 않지만, 고압에서 산소를 흡입시키면 온몸에 경련이 일어날 수 있다.




출처 : 암과 싸우는 사람들
글쓴이 : 산소사랑_최치호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