흡수 안 된 포도당 축적돼 살찌기 쉽고
혈액 끈적끈적해 혈압 상승·혈관 협착
고혈압·체중 조절도 되는 당뇨약 나와
당뇨병 환자 중에는 단순히 당뇨병만 있는 환자보다 비만, 고혈압, 이상지질혈증 등 대사증후군을 동반한 경우가 많다. 2012년 발표된 한국인 당뇨병 보고서에 따르면, 당뇨병 환자의 50%가 비만이었고, 54.6%는 고혈압이 있었다. 강남세브란스병원 내분비내과 안철우 교수는 "당뇨병과 대사증후군이 함께 있는 환자는 심혈관 질환에 걸릴 위험도 크기 때문에 혈당은 물론 혈압, 체중도 함께 조절하는 종합적인 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심혈관 건강](http://health.chosun.com/site/data/img_dir/2015/11/23/2015112302317_0.jpg)
◇당뇨병, 대사증후군 및 심혈관 질환과 연관
당뇨병은 혈당이 비정상적으로 높아져 포도당이 소변으로 배출되는 병이다. 당뇨병 환자는 인슐린 저항성(혈당을 낮추는 인슐린의 기능이 떨어진 상태)과 고인슐린혈증(혈액 속에 인슐린이 많이 들어 있는 상태)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비만·고혈압 같은 대사증후군 및 심혈관 질환에서 완전히 자유롭지 못하다. 인슐린은 포도당이 세포 속으로 들어가 에너지원으로 쓸 수 있게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데, 인슐린 저항성이 생기면 포도당이 세포 속으로 들어가지 못해 혈액 속에 남아있게 된다. 그러면 우리 몸은 포도당을 에너지원으로 쓰기 위해 더 많은 포도당을 필요로 하고, 제대로 쓰이지 못해 남은 포도당은 지방으로 축적돼 살이 찌기 쉽다. 또, 혈액 속에 당이 많으면 혈액이 끈적끈적해져서 원활한 혈액 순환을 방해해 혈압을 높이고, 혈관의 협착을 유발해 동맥경화 및 심근경색 같은 심혈관 질환이 생길 위험이 커진다.
서울성모병원 순환기내과 장기육·내분비내과 조재형 교수, 성바오로병원 순환기내과 김진진 교수팀이 2006년부터 2010년까지 서울성모병원을 찾은 31세 이상 무증상 제2형 당뇨병 환자 933명의 심장 관상동맥을 CT(컴퓨터단층촬영)로 검사한 결과, 374명(40%)은 관상동맥 내 50% 이상 협착이 한 군데 이상 있었고, 당뇨병을 10년 이상 앓은 환자 517명 중 관상동맥 혈관이 세 군데 이상 막힌 환자는 64명(12.4%)으로, 5년 미만 환자 중 14명(6.1%)보다 많아 당뇨병을 오래 앓을수록 심혈관 질환 위험이 컸다.
◇혈압 내리고 체지방 감소하는 당뇨병 약 출시
당뇨병 환자가 여러 질환을 동반하고 있다는 특성을 반영해 최근에는 당뇨병뿐 아니라 비만, 고혈압 등 대사증후군까지 관리할 수 있는 당뇨병 약이 나오고 있다. 기존 약은 체내의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거나 인슐린을 직접 주사해 혈당을 떨어뜨렸다면, 최근 출시된 당뇨병 약은 신장에서 나트륨과 포도당을 몸 안으로 끌어들이는 운반체(SGLT-2)의 활동을 막아 당뿐만 아니라 나트륨과 수분 배출도 증가시켜 혈압을 떨어뜨리고 체중도 감소시킨다. 영국 에인트리대병원 교수팀이 미국당뇨병학회에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SGLT-2 억제제 10㎎을 3달 동안 복용한 제2형 당뇨병 환자는 혈당이 기존 당뇨병 약을 복용한 것과 비슷하게 유지됐으며, 체중은 평균 4.51㎏, 혈압은 약간 감소했다. 이 약은 비만이나 고혈압을 동반한 당뇨병 환자나 췌장이 완전히 망가져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는 약을 먹어도 효과가 없는 환자가 복용하면 도움된다. 국내에서는 4개의 SGLT-2 억제제가 식약처의 허가를 받았는데, 현재 약으로 출시된 것은 포시가 등 2종류다.
당뇨병은 혈당이 비정상적으로 높아져 포도당이 소변으로 배출되는 병이다. 당뇨병 환자는 인슐린 저항성(혈당을 낮추는 인슐린의 기능이 떨어진 상태)과 고인슐린혈증(혈액 속에 인슐린이 많이 들어 있는 상태)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비만·고혈압 같은 대사증후군 및 심혈관 질환에서 완전히 자유롭지 못하다. 인슐린은 포도당이 세포 속으로 들어가 에너지원으로 쓸 수 있게 도와주는 역할을 하는데, 인슐린 저항성이 생기면 포도당이 세포 속으로 들어가지 못해 혈액 속에 남아있게 된다. 그러면 우리 몸은 포도당을 에너지원으로 쓰기 위해 더 많은 포도당을 필요로 하고, 제대로 쓰이지 못해 남은 포도당은 지방으로 축적돼 살이 찌기 쉽다. 또, 혈액 속에 당이 많으면 혈액이 끈적끈적해져서 원활한 혈액 순환을 방해해 혈압을 높이고, 혈관의 협착을 유발해 동맥경화 및 심근경색 같은 심혈관 질환이 생길 위험이 커진다.
서울성모병원 순환기내과 장기육·내분비내과 조재형 교수, 성바오로병원 순환기내과 김진진 교수팀이 2006년부터 2010년까지 서울성모병원을 찾은 31세 이상 무증상 제2형 당뇨병 환자 933명의 심장 관상동맥을 CT(컴퓨터단층촬영)로 검사한 결과, 374명(40%)은 관상동맥 내 50% 이상 협착이 한 군데 이상 있었고, 당뇨병을 10년 이상 앓은 환자 517명 중 관상동맥 혈관이 세 군데 이상 막힌 환자는 64명(12.4%)으로, 5년 미만 환자 중 14명(6.1%)보다 많아 당뇨병을 오래 앓을수록 심혈관 질환 위험이 컸다.
◇혈압 내리고 체지방 감소하는 당뇨병 약 출시
당뇨병 환자가 여러 질환을 동반하고 있다는 특성을 반영해 최근에는 당뇨병뿐 아니라 비만, 고혈압 등 대사증후군까지 관리할 수 있는 당뇨병 약이 나오고 있다. 기존 약은 체내의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거나 인슐린을 직접 주사해 혈당을 떨어뜨렸다면, 최근 출시된 당뇨병 약은 신장에서 나트륨과 포도당을 몸 안으로 끌어들이는 운반체(SGLT-2)의 활동을 막아 당뿐만 아니라 나트륨과 수분 배출도 증가시켜 혈압을 떨어뜨리고 체중도 감소시킨다. 영국 에인트리대병원 교수팀이 미국당뇨병학회에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SGLT-2 억제제 10㎎을 3달 동안 복용한 제2형 당뇨병 환자는 혈당이 기존 당뇨병 약을 복용한 것과 비슷하게 유지됐으며, 체중은 평균 4.51㎏, 혈압은 약간 감소했다. 이 약은 비만이나 고혈압을 동반한 당뇨병 환자나 췌장이 완전히 망가져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는 약을 먹어도 효과가 없는 환자가 복용하면 도움된다. 국내에서는 4개의 SGLT-2 억제제가 식약처의 허가를 받았는데, 현재 약으로 출시된 것은 포시가 등 2종류다.
출처 : 암정복 그날까지
글쓴이 : 정운봉 원글보기
메모 :
'질병 > 당뇨교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한국인의 당뇨병, 인슐린 분비능력에 달렸다 (0) | 2015.11.27 |
---|---|
[스크랩] 식약처, 개인용 혈당측정기 사용법 안내 리플릿 발간 (0) | 2015.11.27 |
[스크랩] 세계 당뇨병의 날… 당뇨병 환자가 주의해야 할 합병증은 무엇? (0) | 2015.11.16 |
[스크랩] 당뇨병 매년 4.4%씩 증가…생활 습관 개선이 `답` (0) | 2015.11.16 |
[스크랩] 당뇨 환자 혈당관리 소모품 건강보험 지원 확대…36만명 혜택 본다 (0) | 2015.1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