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서울병원·서울백병원 등 7개 기관이 '지역별 유병률’을 조사 한 결과, 거주지역에 따라 알레르기비염과 아토피피부염 환자들의 유병률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알레르기비염은 영남과 충청지역, 아토피 피부염은 제주와 서울지역에서 가장 높은 유병률을 보였다.
연구는 전국의 45개 초등학교, 초등학생 4003명(6~7세)과 40개 중학교, 중학생 4112명(12~13세)을 선정해 서울, 경인(경기, 인천), 강원, 충청(대전, 충남, 충북), 호남(광주, 전남, 전북), 영남(경남, 경북, 대구, 부산, 울산), 제주 등 7개 권역으로 나누어서 진행됐다.
알레르기비염 유병률은 초등학생의 경우 영남지역이 42.1%로 최고치를 보였고 제주지역이 30.1%로 가장 낮았다. 중학생에서는 충청지역이 33.7%로 가장 높고, 호남지역이 24.5%로 가장 낮았다.아토피피부염 유병률은 초등학생의 경우 제주지역(37.7%)이 가장 높았고, 호남지역(34.1%)이 가장 낮았으며 중학생의 경우 서울지역(26.5%)이 높고, 영남지역(22.1%)이 최저치를 보였다.
알레르기비염을 유발하는 물질(항원)은 모든 지역에서 집먼지진드기가 가장 높았다. 집먼지진드기는 습기가 있는 집 안의 구석, 침구류, 소파, 양탄자 및 가구 등에 많으며 알레르기의 주원인이다. 저장된 곡물에 많은 긴털가루진드기는 강원지역, 깊은 산 습지나 물에 서식하는 오리나무 꽃가루는 영남지역, 제주도에 많이 심어져 있는 일본 삼나무 꽃가루는 제주지역, 고양이 털에서 나온 고양이 항원은 초등학생의 경우 서울지역, 중학생의 경우 영남지역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서울백병원 김우경 교수는 "지역별로 꽃가루 분포와 노출되는 양이 유병률의 차이를 보이는 하나의 원인으로 생각된다"며 "알레르기 질환의 발병 및 진행에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함께 관여해 지역마다 알레르기 질환의 유병률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다"고 말했다.
삼성서울병원 아토피환경보건센터 안강모 교수는 "알레르기 질환의 꾸준한 증가가 삶의 질 저하와 의료비용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며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이번 연구결과를 참고해 알레르기질환 관련 정책을 수립하고 시행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5/10/19/2015101901461.html
'질병 > 그밖의 중요 질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갑자기 가슴 통증이? 심근경색 초기증상일 수도 (0) | 2015.10.22 |
---|---|
[스크랩] 갑상선 기능 항진증 원인… 심하면 눈 튀어 나와 (0) | 2015.10.20 |
[스크랩] 만성기침의 원인… `위`가 원인일 수도? (0) | 2015.10.20 |
[스크랩] C형간염 정복 눈앞… 12~24주면 99% 완치되는 약 개발 (0) | 2015.10.20 |
[스크랩] 귀 먹먹한 메니에르병, 다른 어지럼증과 구별법은? (0) | 2015.10.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