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반 건강상식/음식&요리

[스크랩] 햇감자라 더욱 맛있어~! `감자채피망볶음`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15. 5. 26.

 

요즘 시장에 나가보니

벌써 햇감자가 나왔더라고요~~


햇감자를 사서

두 개 정도 깍아서 반찬을 하고

몇 개 더 깍아서 삶아보았는데

어찌나 포실포실 맛있던지요~ ^^

 

쪄먹어도 맛있는 햇감자로

요리 솜씨 좀 부려봤습니다~

 

감자채피망볶음 재료 : 감자(소) 3개, 피망 1개, 양파 1/2개, 참기름 1 큰 술(들기름, 포도씨유 등으로 대체 가능), 물 50ml, 소금, 설탕 1 작은 술(생략 가능), 마늘

 

 

감자에 들어있는 셀레늄

기적의 식품이라고도 하는데요~


견과류보다 훨씬 많은 섬유소와 비타민이 들어있고 특히 어린이들에게 중요한 셀레늄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고 합니다. 그리고 감자는 가열해도 파괴되지 않은 비타민C가 풍부하고 칼륨식이섬유가 몸속의 노폐물을 배출해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피부미용에도 좋은 식품입니다.

 

몸에 좋은 건 많이 먹어주는 센스~ ㅎㅎ

 

햇양파에 햇감자에~ 요즘은 정말 먹거리가 다양해서 식탁이 풍성해지니 요리하는 주부들도 먹어주는 가족들도 모두 모두 행복해지는 계절입니다~ ^0^

 

오늘 감자채피망볶음 요리의 포인트기름보다는 물을 넣고 볶아주는 조리법으로 가족 건강을 챙기는 웰빙반찬으로 만들어 보았답니다.

 

 

감자채피망볶음을 만들기 위해서는

감자를 먼저 채 썰어야겠지요!


감자채는 너무 얇게 써는 것보다는 조금 도톰해도 좋으니 손으로 직접 채 썰어서 만듭니다. (칼질하기 싫다고 채칼로 썰지 마시고요~ ㅎㅎ)

 

여기서 약간의 조리법이 달라지기도 하는데요~ 감자를 채 썰어서 이렇게 물에 담가 녹말기를 빼주고 요리를 하는 방법도 있고요.

 

 

이렇게 채 썰은 감자에

소금과 설탕으로 미리 밑간을 해줍니다.

 

아~ 설탕은 굳이 안 넣으셔도 되네요!


전 아주 소량만 넣었어요~ 설탕을 조금 넣어주면 조미료 안 넣어도 조미료의 감칠맛을 따라잡을 수 있다해서 넣었습니다~ ㅎ

 

요리방법이나 재료선택은

요리하시는 분 맘대로 하시는 거죠~ ㅎㅎ

 

 

체에 받혀 물기를 빼서

볶는 조리법도 있답니다.

 

어떤 식으로 하던 부서지지 않고 잘 볶아지는 감자채볶음을 만들기 위한 방법인데요~ 전 개인적으로 소금으로 밑간을 해주고 수분을 빼준 상태에서 볶아주는 방법이 제일 좋더라고요~ 소금으로 밑간을 할 땐 그야말로 약간만 밑간을 해주시고요~ 나중에 간을 보고 모자라는 간을 해주시면 된답니다.

 

처음부터 간을 세게 하면...아시죠?

실패할 확률이 높다는 거요~ ㅎ

 

 

그리고 피망과 양파도 채 썰어 준비합니다.

 

자~ 이제 재료준비는 다 됐으니

맛있게 볶아주면 되겠죠~?

 

 

오늘 요리는 기름기 적은 감자채피망볶음이어서~ 요리 완성 후에 넣게 되는 참기름을 미리 한 큰 술 정도 넣고 감자를 볶아줍니다.

 

 

감자는 아직 익지도 않았는데 불을 세게하면 기름도 없고 자꾸 타게 되겠지요..?
이때 물을 한 큰 술씩 넣어주면서 볶아주는 거에요~ 기름 없이도 얼마든지 물로 감자를 볶을 수 있는 거지요~

 

 

감자가 어느정도 익어가면 마늘과 양파를 넣어주고~ 마지막으로 채 썬 피망을 넣어주고~ 간을 본 다음 불을 끄시면 된답니다.


양파나 피망은 생으로도 먹을 수 있는 채소니~ 너무 오래 볶지 않는 게 좋지요!

 

 

기름기는 적게~ 맛은 부드럽게~

감자채피망볶음 완성입니다~ ^0^

 

 

부드러운 감자 맛

아삭아삭한 피망과 양파향이 코끝을 지나

입안으로 들어와

온몸의 미각을 돋아주는 반찬이네요~ (굿!)

 

 

두부와 계란, 어묵반찬에 이어 우리네 식탁에

단골로 올라오는 감자 요리랍니다~ ㅎ

 

요즘 감자는 햇감자라

더 포실하고 맛있는거 아시죠~?
햇감자라 더 맛있는 감자채피망볶음으로

가족 건강 챙겨보세요~~ ^^

 

 

  |  |  |  |  | 

농촌진흥청의 소리에 귀 기울여 주셔서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소중한 댓글과 함께 [스크랩]으로 가져가주세요! - 희망의 새시대를 만들어가는 농촌진흥청 -

출처 : 쵸니
글쓴이 : 쵸니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