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인 지혜는 한식을 너무 좋아합니다.
매콤한 고추장 그리고 구수한 된장으로 만든 우리 한식들은 언제나 지혜의 침샘을 자극합니다.
한식을 직접 만들어 먹고 싶은 지혜는 여러 레시피를 보고 요리를 시도해보지만
지혜가 좋아하는 한식의 맛은 쉽게 나지 않습니다.”
여러분들은 혹시 이런 경험 없으셨나요?
된장, 고추장, 간장 등으로 맛을 낸 한식은 그 어떤 요리와 견주어도 부족함이 없을 정도로 훌륭한 음식인데요.
막상 조리를 하려고 하면 생각만큼 그 맛을 내기가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이제 이런 걱정은 그만!
한식 조리가 익숙지 않은 사람들도 쉽게 한식을 만들 수 있도록 농촌진흥청에서 한식 양념장 10종을 개발했다고 합니다.
이번에 개발한 한식 양념장은 간장, 고추장, 된장, 젓갈, 식초 등 전통발효식품을 기반으로 개발한 15가지 기본 양념장을
간장 양념장, 초간장, 고추장 양념장, 고추장 찌개장, 초고추장, 된장 양념장, 된장 찌개장, 김치 양념장, 젓갈 양념장, 단촛물 등
총 10종으로 간소화한 것입니다.
뿐만 아니라 사람들이 양념장을 만든 후 이를 이용한 요리를 할 수 있도록 요리법 44종 또한 함께 개발했다고 합니다.
▲ 농촌진흥청에서 출간한 ‘한식 양념장’ (출처: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기술지원팀)
농촌진흥청에서는 개발된 양념장과 조리법이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질 수 있도록 책을 만들었으며,
이 책은 농업과학도서관 누리집(lib.rda.go.kr)에서 PDF로 내려받을 수 있습니다.
▲ 교육에 참여한 베트남 학생들의 모습(출처 :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기술지원팀)
그리고 지난달 3일부터 5일까지 개발된 양념장을 바탕으로
국내 한국어 어학연수생 베트남인 25명을 대상으로 교육이 진행되었습니다.
교육은 한식의 우수성과 한식 양념장의 이해와 양념장 만들기 실습
그리고 간장?고추장 양념장 조리 개요와 실습, 된장?젓갈?식초 양념장 조리 개요와 실습 등으로 실시되었습니다.
개발된 한식 양념장에 대한 더 자세한 이야기를 농촌진흥청 기술지원팀 강민숙님에게 들어볼까요?
대학생 기자(이하 대): 안녕하세요, 인터뷰에 응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본인 소개 부탁드려요!
강민숙님(이하 강) : 네, 안녕하세요. 저는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기술지원팀 강민숙이라고 합니다.
대 : 한식 양념장 10종을 개발하게 된 계기에 대해 말씀해주세요.
강 : 한식은 전통성, 영양균형성, 건강지향성, 예술성 등의 우수한 특징을 가지고 있지만 준비하는데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들며 표준화나 규격화가 잘 되지 않아서 외국인뿐만 아니라 요즘의 우리 세대에게조차 조리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이러한 문제점들은 한식의 계승과 보급 및 세계화로 나아가는 데도 걸림돌이 되고 있습니다.
이에 우리 농촌진흥청은 한식의 근간이 되는 발효식품을 중심으로 한식 양념장을 체계화하고 조리방법 빈도에 따른 분류 및 양념장 제조법 표준화의 연구를 수행함과 동시에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한 교육을 통하여 한식 양념장과 활용법의 가능성을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정리하게 되었습니다.
대: 얼마 전(2월 3일~5일) 국내 한국어 어학연수생 베트남인을 대상으로 교육이 진행되었다고 하는데요, 그 교육에 참여한 베트남 학생들의 반응은 어땠나요?
강 : 간단하게 맛깔난 한식조리가 가능하다며 신기해했습니다. 5종의 모체 양념장만 준비되면 조리방법과 식재료를 결합하여 다양한 한식이 쉽게 만들어지는 것에 한식 전문가가 된 것 같다며 즐거워했습니다.
▲ 한식양념장 체계활용 교육프로그램 실증교육(충북농업기술원)
(출처: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기술지원팀)
대 : 외국인 대상 교육에 있어서 여러 나라의 어학연수생이 있는데 베트남인을 선택한 이유가 있나요?
강 : 우리나라 다문화가정의 학생 수(2014년 교육부 발표)는 6만 7천여 명으로 전체학생의 1%를 넘었고, 다문화가정 부모의 국적 비율이 높은 곳은 중국, 일본과 함께 베트남이 꼽힙니다. 또한 한류의 열기로 한국을 방문한 베트남인은 2013년 12만 명을 넘어서 급증세를 보이고 있다고 합니다.
한국에서 맛보고 즐긴 한식을 고국에 돌아가 즐기고 이것이 확산시킨다면 ‘한식의 세계화’와 관련 농산물의 수출에도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일본의 스시를 세계화할 때 기꼬망 간장이 산업화를 도운 것처럼 말이지요.
대 : 앞으로 한식 양념장 확산에 있어서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소에 대해 말씀해주세요.
강 : 전국의 시·군 농업센터에서 농업인, 관내 주민을 대상으로 직접 한식 양념장을 파급할 수 있도록 교안, 리플릿, 책자를 제공했습니다. 번거롭고 까다로운 한식조리가 ‘한식 양념장’을 통해 신세대, 도시민, 외국인에게 파급하여 국내뿐 만 아니라 세계 곳곳에서 건강에 좋고 맛있는 한식을 누구나 손쉽게 만들어 즐길 수 있기를 바랍니다.
이처럼 이번에 개발된 한식 양념장은 한식 요리를 어렵게 느끼는 사람들,
그리고 외국인들도 쉽게 한식을 접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주었습니다.
한식 양념장의 지속적인 보급과 확산을 통해
한식이 더 세계적인 음식으로 발돋움할 수 있기를 바라봅니다.
|
'일반 건강상식 > 음식&요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정월대보름에 먹는 오곡밥 버거! 간편식으로 최고랍니다~ (0) | 2015.03.11 |
---|---|
[스크랩] 탕반문화의 정수, 육수 (0) | 2015.03.11 |
[스크랩] 부드럽고 구수한 고구마 수프로 아침을 든든하게! (0) | 2015.03.08 |
[스크랩] 돼지고기가 맛있는 이유.. (0) | 2015.03.06 |
[스크랩] 정월대보름 음식 5종 세트 (0) | 2015.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