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반 건강상식/건강정보

[스크랩] 겨울에도 졸린 `동곤증` 피하려면

by 크리에이터 정관진 2014. 11. 27.

겨울이 우울하고 무기력하다면 ‘동곤증’에 걸린 것은 아닌지 의심해보자.

동곤증은 의학에서 '계절성 정서장애'(SAD)라고 불린다. 지속되면 계절성 우울증으로 발전할 수 있다. 특히 겨울이 긴 북부 유럽에서 가벼운 동곤증을 앓는 사람이 많다.

겨울에 이런 증상이 심해지는 이유는 일조량과 큰 관련이 있다. 겨울은 햇볕의 양과 일조시간이 부족하고 상대적으로 야외활동이 줄어들며 신체가 햇볕을 받을 수 있는 시간이 그만큼 줄어든다. 햇볕에 의해 생성되는 '행복 호르몬'인 세로토닌의 분비가 줄어들고, 무기력증·우울증·불면증 등이 생기게 된다.


	졸음을 참고 있는 한 여성
사진=조선일보DB

따라서 겨울에는 신체가 충분히 햇볕에 노출되도록 적당한 산책과 일광욕을 해 주면 좋다. 아침에 일어났을 때 방안의 불빛을 아주 밝게 켜 두는 것도 효과적이다.

밤에 잠을 잘 때는 빛을 완전히 차단하거나, 안대를 착용해야 좋다. 자는 동안에는 희미한 빛이라도 시신경을 자극해, 수면 호르몬인 멜라토닌의 분비를 줄어들게 한다.

'웃음' 역시 졸음을 물리치는 데 효과적이다. 웃을 때는 세로토닌·엔도르핀 등 뇌신경 전달 물질 분비가 늘어 뇌 활동이 활발해진다. 고등어·연어·정어리 등 생선 섭취를 통해 오메가-3를 보충하는 것도 좋다.

/ 김수진 헬스조선 기자
우준태 헬스조선 인턴기자

출처 : 암정복 그날까지
글쓴이 : 정운봉 원글보기
메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