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에게 쓸모없는 것이 누군가에겐 소중한 자산이 되는 곳 ‘순환자원거래소’
폴리씨를 잘 아는 분이라면 얼마 전 소개해드린 순환자원거래소가 낯설지 않을 텐데요. 기억나시죠?
?
▣ 순환자원거래소
말 그대로 자원을 순환하게 하는 거래소라고 생각하시면 되는데요. 2012년 12월부터 한국환경공단이 운영하고 있구요. 중고물품들을 나눌 수 있는 거래장터인 동시에, 단순하게 소각?매립되는 폐기물을 한 번 더 재활용할 수 있도록 수요자와 공급자를 연결시켜주는 정보마당이자 온라인 장터입니다. |
순환자원거래소 홈페이지를 통해서만 가능했던 거래를 이제는 손 안에서 쉽고 편리하게 할 수 있게 됐습니다.
‘순환자원거래소 모바일 앱’이 출시됐기 때문이에요.^^
▲ 순환자원거래소 앱 화면
모바일 앱 ‘순환자원거래소’에는 어떤 기능이?
앱을 활용하면 실시간으로 물품을 등록할 수 있구요. 지리정보시스템(GIS)을 통해 거래 가능 물품의 위치정보도 확인할 수 있답니다. 또 정보무늬(QR)코드를 통해 물품확인 및 재고관리가 가능하구요.
더 편리해진 순환자원거래소 앱!
어떤 편리한 기능들이 있는지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GO~ GO~ GO~!
1. 실시간 물품등록 가능
기존에 온라인에서는 거래하고 싶은 물품을 등록하려면요. 자신의 물품을 휴대폰이나 카메라를 이용해 찍은 다음 홈페이지에 일일이 등록했는데요.
앱에서는 이런 번거로움을 없앴습니다!
실시간 물품등록 기능을 만들어서 그 자리에서 사진을 찍고 바로 올릴 수 있게 했어요.^^
▲ ‘등록’을 선택한 다음 ‘찰칵’ 찍으면 사진 등록이 한 번에 끝~!
사진을 찍고 컴퓨터로 옮겨 다시 홈페이지에 등록해야 하던 것을 한 번에 할 수 있는 신속성과 편리함이 생겼네요.^^
2. GIS로 위치정보 확인을 쉽게!
GIS기반으로 등록물품의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도 있어요.
터치 한 번에 판매자의 정보와 위치를 알 수 있고 바로 구매까지 가능해요.
스마트폰 사용이 서툰 어르신들도 물품 거래를 간편하게 할 수 있겠죠?~
▲ 주변검색을 통해 사고 싶은 물건을 구입하기가 더욱 편리해졌다.
3. QR코드 활용으로 편리하게!
온라인을 통해 물건을 구입해본 분들은 아실 텐데요. 평소 찜해뒀던 물품이 팔리진 않았을까 홈페이지를 확인하고, 또 판매자에게 팔렸는지 물어보며 답을 기다렸던 적 있을 거예요.
하지만 이젠 모바일 앱을 통해 거래 여부도 쉽게 확인할 수 있어요.
정보무늬(QR)코드를 스마트폰으로 읽으면 평소 관심을 가졌던 물품이 팔렸나 안 팔렸나 바로 확인할 수 있답니다.
재활용사업자나 개인이 다량의 물품을 거래하는 경우, 등록한 물품의 정보무늬(QR)코드를 활용해 실시간으로 재고관리도 할 수 있어요. 재활용사업자가 물품에 부착한 코드를 스마트폰으로 인식하면 판매 여부와 재고 수량 등이 모바일 웹페이지에 표시됩니다.
4. 일회용 패스워드(OTP) 보안코드로 안전거래를!
순환자원거래소 앱을 통해 물품을 거래할 경우 일회용 패스워드 생성기를 통해 쉽게 거래할 수 있어요.
원래는 물품을 구입하려면 공인인증서 인증절차가 필요했는데요.
이제는 일회용 패스워드로 쉽고 편리하게 이용해 보세요~
▲ 별도의 공인인증서 없이 본인 인증을 받을 수 있어 편의성과 보안성을 함께!
순환자원거래소를 통한 폐기물 거래는 지난 2013년 한해 총 49만 건이 거래됐어요. 목표치인 32만 건보다 154%를 초과 달성한 건데요. 이처럼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물품거래가 모바일 앱 출시 이후 더 늘어나지 않을까 폴리씨는 생각해봅니다.
버려질 중고물품들이 누군가에게 새로운 쓰임새가 되고, 폐기물들은 다시 쓰이는 이곳.
안전해서 믿음직하고 환경을 생각해서 아름다운 장터‘순환자원거래소’
이젠 모바일 앱을 통해 쉽고 편리하게 이용하세요.^-^
?* 본 포스트는 아래를 참고하여 작성되었습니다.
?
- 환경부 www.me.go.kr 환경부 홈페이지 >> 보도자료
>> "폐기물·중고물품 거래, 이제 스마트폰 앱으로 하세요" (2014.6.5)
'교류의 장 > 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우리나라에는 빵집이 많을까? 떡집이 많을까? (0) | 2014.06.12 |
---|---|
[스크랩] `농촌`은 `사랑`입니다.. (0) | 2014.06.12 |
[스크랩] 지하보도 속에서 식물이 자랄 수 있다? 없다? (0) | 2014.06.09 |
[스크랩] 친환경 고품질 농산물을 만드는 `온새미로농법`을 아세요? (0) | 2014.06.09 |
[스크랩] 6.6~6.12(145호) 주간 알뜰장보기 물가정보 (0) | 2014.06.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