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이 살아가면서 가장 필요한 세가지는
뭐니뭐니 해도
의, 식, 주 라고 할 수 있습니다.
특히 몸이 불편한 장애인들의 겨우
이 세가지 기본 요건이 꼭! 충족되어야 하는데요,
오늘은 그중에 “주”에 해당되는 내용을 살펴보려고 합니다.
정부에서는 형편이 어려운 장애인들을 위해
<장애인 거주시설>을 운영하고 있는데요,
장애인 거주시설이 무엇일까요?
장애인 거주시설은 말 그대로 장애인들이
일정기간 거주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 시설입니다.
이 시설에서는 단순히 거주공간만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재활을 위한 여러 가지 도움을 주고 있는데요,
상담·치료·훈련 등의 서비스를 제공해
장애인들의 사회복귀를 도와주고 있습니다.
장애인 거주시설이라고 해서 다 같은 종류가 아니라
장애 종류나 연령에 따라 시설을 분류할 수 있습니다.
좀 더 자세히 장애인 거주시설의 종류에 대해 알아볼까요?
종류는 크게 3가지 분류로 구별할 수 있습니다.
바로 장애유형별 거주시설, 중증장애 요양시설, 영·유아 거주시설입니다.
그럼 하나하나 차근차근 알아보겠습니다!
장애유형별 거주시설
장애유형별 거주시설은 장애유형에 따라 나뉜 거주시설입니다.
비슷한 장애를 가진 사람들을 입소하게 하거나 통원하게 해
그 장애 유형에 적합한 교육, 직업, 심리, 재활·주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인데요,
아무래도 그들에게 가장 효과적인 서비스를
맞춤형으로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라 할 수 있습니다!
1. 지체(뇌병변)장애인 거주시설 2. 시각장애인 거주시설 3. 청각·언어 장애인 거주시설 4. 지적(자폐성)장애인 거주시설 5. 중증장애인 요양시설 |
다음은 중증장애 요양시설입니다.
중증장애 요양시설?
중증장애 요양시설은 장애의 정도가 심해
항상 도움이 필요한 사람이 입소하는 시설입니다.
중증장애 요양시설 역시 그들에게 맞는
상담·치료 또는 요양서비스를 맞춤형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마지막은 장애영유아 거주시설입니다.
장애 영유아 시설은 6세 미만의 장애영유아를
입소하거나 통원하게 하여 재활에 필요한 의료·교육·심리·사회 등의
재활서비스를 제공하고 이들을 보호해주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또한 장애인 단기거주시설도 존재하는데요,
장애인 단기 거주시설은 장애인을 일정기간 동안 보호하며
장애인에게 필요한 재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
혹은 장애인 공동생활가정이라 할 수 있습니다.
주로 스스로 사회에 적응하기 곤란한 장애인들이
장애인복지 전문인력의 지도와 보호를 받으며
공동으로 생활하는 지역사회 내의 소규모 시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하지만 모든 장애인들이 이 시설에 거주할 수는 없는데요,
그러면 어떤 경우 시설을 이용할 수 있을까요?
누가 이용할 수 있을까?
시설의 사용 여부는 어떤 시설이냐에 따라 달라지게 됩니다.
주로 기본 장애인 거주시설은 국민기초생활수급자인 장애인
혹은 부양의무자가 없거나 부양의무자의 부양능력이 없는 장애인이 이용할 수 있습니다.
실비 장애인 거주시설인 경우
장애인이 속한 가구의 가구원수로 나눈 월평균 소득액이
통계청에서 발표한 2014년 도시근로자 가구 월평균 소득을 평균가구원수로 나눈
소득액 이하인 가구의 장애인의 경우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두 시설 모두 등록 장애인의 경제적인 능력이 주가 된다면,
장애인 단기거주시설이나 공동생활가정의 경우
시·군·구와 시설에서 선정한 등록 장애인이면 이용가능하다고 합니다.
생활에 불편함이 있을 수 있는 장애인들에게
그 불편함을 조금이라도 덜어주기 위한 이런 시설들이 있는 것은 많은 도움이 됩니다.
앞으로도 더!!!
장애인들의 복지를 위해 힘쓰는 대한민국이 되도록 하겠습니다.
좀 더 자세한 사항은 보건복지부 홈페이지
장애인 정책 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http://www.mw.go.kr/front_new/jc/sjc0112mn.jsp?PAR_MENU_ID=06&MENU_ID=06120604
ⓒ 따스아리
'교류의 장 > 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미리 가 본 `대구꽃박람회`, 그 분주한 현장에 다녀왔습니다! (0) | 2014.06.04 |
---|---|
[스크랩] [공감포토 | 그때 그 시절] 민주주의의 꽃, 선거일 풍경 (0) | 2014.06.04 |
[스크랩] 국립고궁 박물관 (조선의국왕) (0) | 2014.06.03 |
[스크랩] [공감포토] 문화창조의 중심지, 재탄생한 서울의 랜드마크 - 동대문디자인플라자 & 구 서울역사 (0) | 2014.06.03 |
[스크랩] 풀과의 전쟁에서 내가 이겼어요~ (0) | 2014.06.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