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사들은 3교대로 인한 불규칙한 근무와 과중한 업무량, 낮은 임금에 결혼으로 인한 임신과 출산, 육아문제로 의료현장을 떠나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경력단절 간호사 2명 중 1명은 낮은 임금문제로 이직을 한번 이상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사의 경력단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자녀양육 휴가를 신설하고 임신기 간호사의 업무 재배치, 근무 시간 내 인수인계, 표준 급여기준 등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대한간호협회와 이화여대 간호학부 이건정 교수 연구팀은 ‘경력단절 간호사 실태조사 보고서’를 통해 이 같이 제안했다.
이번 실태조사는 간호사의 경력단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해 실시됐으며 무작위로 추출한 전국의 경력단절 간호사 1073명을 대상으로 2013년 11월 21일∼2014년 1월 8일까지 진행됐다.
보고서에 따르면 경력단절 간호사 10명 중 8명은 취업경력이 10년 이내였으며 46.5%는 퇴직 당시 나이가 29세 이하였다. 경력단절기간이 5년 이내라는 응답은 59.6%로 가장 많았다.
의료현장을 떠난 이유는 74%가 ‘임신과 출산, 육아문제’라고 답했으며 간호사로서 근무당시 만족도를 묻는 질문에는 44.8%만이 ‘만족한다’고 답했다.
이건정 이화여대 간호학부 교수는 “간호사들이 3교대로 인한 불규칙한 근무와 과중한 업무량, 낮은 임금이라는 간호직의 특수성이라는 구조적 요인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다 결혼, 출산, 양육 등 여성생애사라는 두 가지 차원이 결합되면서 나타난 결과”라고 말했다.
특히 경력단절 간호사 중 49.8%는 퇴직 시 월 200만원 이하의 낮은 임금을 받았으며 이로 인해 46%는 이직한 경험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취업당시 근무기관 형태는 병원이 43.9%로 가장 많았고, 상급종합병원 25.8%, 의원 10.3% 순이었다.
재취업 의사를 묻는 질문에는 92.4%가 ‘그렇다’고 답했다. 재취업 이유에 대해서는 ‘내 일을 갖고 싶어서’라는 응답이 58%로 가장 많았으며, ‘경제적 필요에 의해서’(30.9%), ‘시간적 여유가 생겨서’(7.7%) 순이었다.
반면 재취업을 방해하는 가장 큰 장애요인으로는 역시 ‘자녀양육’이라는 답변이 64.5%로 가장 많았으며, ‘재취업 대한 두려움’이라고 답한 경우도 14.9%로 높게 나타났다.
이 교수는 “간호사의 경력단절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자녀양육 휴가를 신설하고 양육비지원, 육아휴직, 가족 돌봄 휴가제를 도입해야 한다”며 “임신기 간호사의 업무재배치, 간호사 인력 확충, 간호사 직제개발, 선택적 근무제, 근무 시간 내 인수인계, 시간외 수당 지급 의무화와 연차 활성화, 표준 급여기준이 제시돼야 한다”고 전했다.
또 “간호대학 교과과정 개선을 통한 직업의식 고취를 위한 교육과정 개발, 직업탐색 프로그램 이수, 다양한 인턴십 프로그램, 실습교육 내실화, 인성교육 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대한민국 의학전문지 헬스코리아뉴스-
'교류의 장 > 게시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중국 자국산업 보호벽에 발목 잡힌 국산 유제품” (서울경제, 5.8) 보도 관련 해명 (0) | 2014.05.11 |
---|---|
[스크랩] 고양 꽃박람회 제3탄 (0) | 2014.05.11 |
[스크랩] `먹는` 치즈에서 `만드는` 치즈로 ! 치즈의 6차산업 이야기.. (0) | 2014.05.09 |
[스크랩] 가족나들이 하기 좋은 곳, 산토끼 토끼야 ♪ `산토끼 노래동산` (0) | 2014.05.09 |
[스크랩] 즐거운 해외여행 마무리, 동식물 검역으로 확실하게! (0) | 2014.05.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