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24일 치주과학회 제정 '잇몸의 날'
척추 뼈는 우리 몸의 중심을 잡아줘 직립보행이 가능하게 해주는 역할을 한다. 우리 몸에는 이런 척추 뼈 못잖게 중요한 역할을 하는 뼈가 또 하나 있다. 바로, 치아를 지지해 주는 잇몸 뼈다.
많은 사람이 평소 척추건강은 잘 챙기면서 잇몸 뼈의 중요성은 간과하는 경우가 많다. 심한 잇몸병으로 잇몸 뼈의 상당 부분이 녹아 없어져 더 이상 치아를 떠받치지 못할 정도가 되기 전까진 특별히 이상 증상을 드러내지 않기 때문일 것이다.
하지만, 오복의 하나로 비유되는 치아건강은 건강한 잇몸과 잇몸 뼈로부터 시작된다는 것을 절대 잊어선 안 된다는 게 치과의사들의 한결같은 지적이다.
잇몸 뼈가 녹아서 손상되는 주원인은 잇몸병이다. 대한치주과학회가 제정한 제6회 잇몸의 날(24일)을 맞아 잇몸병으로부터 귀중한 잇몸 뼈를 보호하고, 나아가 치아도 잃지 않는 법을 서울대치과병원 치주과 김태일 교수의 도움말로 알아봤다.
잇몸병은 치아를 둘러싸고 있는 주위조직인 잇몸과 턱뼈(잇몸 뼈)에 염증이 생기는 병이다. 염증의 정도에 따라 잇몸 표면에만 염증이 있는 상태의 '치은염'과 잇몸 내부의 턱뼈와 치아 뿌리 표면, 그리고 이 둘을 이어주는 인대까지 염증이 퍼진 상태의 '치주염'으로 구분된다.
잇몸병이 생기면 입 냄새가 심하게 나고 잇몸이 근질거리며 칫솔질을 할 때 잇몸에서 피가 나는 증상을 보인다. 왠지 치아가 솟아있는 느낌이나 흔들거리는 느낌을 받게 되고, 치아 사이가 벌어지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이 같은 이상 증상을 보이지 않고 염증이 턱뼈까지 번져 소리 없이 뼈를 녹이는 경우도 많아 주의가 필요하다.
김 교수는 "발병 초기 단계에 잇몸병을 발견할 경우 적절한 치료를 통해 건강한 치아와 잇몸건강을 유지할 수 있지만, 잇몸병이 진행되고 있는데 이를 알고도 방치하거나, 혹은 모른 채 지내게 되면 치아주위 조직들이 서서히 파괴되어 결국 치아가 흔들리고 빠지는 상황을 맞이하게 된다"고 경고했다.
더 큰 문제는 잇몸병이 구강건강 뿐만 아니라 전신건강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이다. 김 교수는 "한 예로 잇몸 염증은 당뇨병과 밀접하게 연관돼 있는데, 잇몸치료 및 정기적인 관리를 받지 않은 당뇨 환자의 몸 상태는 잇몸치료와 정기적인 관리를 받는 당뇨 환자에 비해 훨씬 더 안 좋은 경우가 많다"고 지적했다.
잇몸병은 동맥경화증, 심근경색증 등 심혈관계 질환을 악화시키는 주요 위험인자이기도 하다. 또 임산부의 잇몸병은 조산 및 미숙아 출산의 위험성을 높이는 원인이 될 수도 있다는 것이 의학계의 정설이다. 치과 의사들이 흔히 구강건강뿐만 아니라 전신건강을 지키기 위해서라도 가까운 치과를 한 곳 정해 놓고 정기적으로 잇몸병 발병 여부를 확인하고 발병시 바로 적절한 처치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하는 이유다.
잇몸병은 대개 치석을 제거하는 스케일링을 기본적으로 시행한 후, 염증 상태에 따라 잇몸 내부의 염증 조직을 제거하는 '치은소파술'로 치료한다. 또 눈으로 보이지 않는 부분까지 침투해 있는 염증조직을 제거하는 '치주판막수술' 등도 있다. 치주판막수술은 치료 목적에 따라 염증이 더 이상 악화되지 않도록 하는 데 목표를 두는 '절제형 수술'과 파괴된 조직을 다시 회복시켜주는 '재생형 수술'로 다시 나뉜다.
모든 질병이 그렇듯이 잇몸병도 항상 치료보다 예방이 더 중요하다. 김 교수는 "잇몸병은 만성 생활습관병의 하나로 간주하므로, 잇몸에 특별한 불편감이 없더라도 적어도 일 년에 한두 번은 치과를 방문해 잇몸의 건강상태를 점검받고 잇몸병 예방목적의 스케일링 시술을 받는 게 안전하다"고 말했다.
이기수 의학전문기자 kslee@kmib.co.kr
'질병 > 그밖의 중요 질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파킨슨병 新치료법, 파스처럼 붙이는 치료제 나온다 (0) | 2014.04.01 |
---|---|
[스크랩] 자다 깨 화장실 가는 야간뇨… 젊은 여성도 위험 (0) | 2014.03.27 |
[스크랩] 얼굴 비뚤어지는 안면신경마비…5분 마사지로 해결하는 법 (0) | 2014.03.26 |
[스크랩] 24일 세계 결핵의 날… 감기와 구별하는 방법 (0) | 2014.03.25 |
[스크랩] 달라진 백내장 수술… 칼없이 레이저로 단숨에 해결 (0) | 2014.03.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