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형 간염 치료제(페그인터페론)를 80%만 맞아도, 100% 맞은 것과 같은 효과가 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가톨릭대 서울성모병원 소화기내과 배시현, 인천성모병원 권정현 교수팀이 국내 14개 대학병원에서 2008년 11월부터 2012년 6월까지 유전자 1형 C형 간염 환자 178명을 대상으로 연구했다. 178명 중 86명의 환자는 초기 12주까지 원래의 용량인 180μg(마이크로그램)을 매주 맞고, 이후 36주간은 135μg로 감량해 맞았다.
그 결과, 페그인터페론의 80% 용량만 유지해도 100% 용량으로 치료 받은 환자와 유사한 치료반응을 얻을 수 있다는 점을 증명했다. 치료제를 감량해 맞은 그룹은 51.2%의 완치율을 보였는데, 이는 기존 용량인 180μg으로 48주간 맞은 환자의 완치율(56.5%)과 유사한 결과이기 때문이다.
C형 간염바이러스(HCV)는 만성 간염 및 간경변증, 간암 등 만성간질환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이다. C형간염 바이러스 감염의 위험인자는 정맥주사 약물남용, 주삿바늘 찔림, 문신, C형간염 검사를 하지 않은 헌혈 혈액의 수혈 등이다. C형간염은 대부분 증상이 없어 급성으로 걸려도 느끼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일부에서는 자연 회복되지만 상당수가 만성으로 진행한다. 일단 만성간염이 되면 자연 회복은 드물고 지속적인 간 손상이 유발되어 간경변증과 간암이 초래될 수 있다.
C형 간염 치료는 C형 간염 바이러스 증식의 억제 또는 박멸을 통해 합병증을 예방하고 간경화 및 간암으로의 진행을 차단하기 때문에 항바이러스 치료가 매우 중요하다. 현재 널리 상용되고 있는 표준 치료법은 매주 맞는 페그인터페론 주사제와 매일 복용하는 경구용 항바이러스제의 복합 치료법이다.
배시현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로 우리나라 환자들은 대부분 기존 치료 용량의 80% 유지하여도 동일한 치료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것을 증명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아시아태평양 공식 간학회지인 ‘Hepatology international’ 2013년 11월호에 발표됐다.
/ 헬스조선 편집팀 hnews@chosun.com
'질병 > 그밖의 중요 질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2주 이상 기침하면? 결핵 가능성 의심 (0) | 2014.03.05 |
---|---|
[스크랩] 독감 바이러스가 기면병 일으킬 수 있다고? (0) | 2014.03.05 |
[스크랩] 윗배 아프고 구역질 나면 맹장염, 체한 듯하고 메스꺼우면? (0) | 2014.03.02 |
[스크랩] 급성 편도염 증상…1년에 3번 이상 나타난다면? (0) | 2014.02.28 |
[스크랩] 보름째 안 낫고 콜록… 면역력 낮아 생기는 `감기 릴레이` (0) | 2014.0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