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코와주식회사 제공
◇경련성(긴장성) 변비, 젊은층에게서 많이 발생
변비에도 여러 종류가 있다. 대변이 직장에 걸려 나오지 않고 복통이 심한 직장형 변비, 통증은 없지만 변이 장에서 머무는 시간이 길고 변을 보고나면 잔변감이 느껴지는 이완성 변비, 스트레스가 주요 원인인 경련성 변비가 있다. 경련성변비는 대변의 욕구가 느껴져 아랫배에 힘을 줘도 대변이 나오지 않거나, 복통과 함께 가스가 차며, 며칠에 한번 작고 둥근 토끼똥 형태의 딱딱한 변이 나온다. 경련성 변비는 스트레스를 받아 대장이 긴장해 장벽이 불규칙하게 수축하여 변을 통과시키지 못해 발생한다. 배에서 '꼬르륵'소리가 나는 경우가 많고, 방귀가 자주 나오며, 복통과 복부팽만 등의 증세가 동반된다. 사회활동을 하는 젊은층에게서 많이 발생하고, 지나치게 다이어트를 하거나 성격이 예민한 사람에게서도 증상이 나타난다.
◇경련성 변비엔, 장운동 촉진시키는 변비약 효과 X
장씨처럼 변비약을 먹었는데 복통이 생기는 등 부작용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장씨와 같은 경련성 변비 환자에게는 변비약으로 효과를 못 볼 수 있다. 시중에 파는 대부분의 변비약들은 장운동을 촉진시켜 이완성 변비치료에 적합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최근에는 경련성 변비 환자들을 위한 약도 출시되고 있다. 한국코와주식회사에서 제조한 '나츄라트코와정'은 정장생균(낫토균, 낙산균) 2가지를 넣어, 장내 유익균으로 활동함과 동시에 판토텐산칼슘은 유익균인 비피더스균의 증식을 도와 장내 환경을 정상 상태로 개선하는 작용을 한다.
◇식이 섬유, 경련성 변비엔 오히려 毒
경련성 변비에 식이 섬유는 좋지 않다. 대전 소재의 한 병원 영양사는 불용성 식이 섬유는 대장을 더 자극하기 때문에 오히려 변비를 악화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섬유질 식품보다는 장에 자극이 덜한 음식, 부드럽고 소화가 잘 되는 음식이 좋다. 경련성 변비는 스트레스가 주원인이므로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취미를 갖는 것이 중요하다. 평소 장에 무리를 주는 술이나 콜라, 인스턴트 음식 등은 삼가도록 한다. 딱딱하고 기름진 음식이나 차가운 음료수 등도 좋지 않다.
'암치유에 도움 > 식이요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신진대사를 촉진시켜주는 음식 10가지.. (0) | 2014.03.06 |
---|---|
[스크랩] 열 받아야 좋아지는 채소도 있다? (0) | 2014.03.06 |
[스크랩] 감기 유행… 제철 맞은 `대게`로 이겨내자 (0) | 2014.02.28 |
[스크랩] 식의약 시장에 도전하는 곤충 (0) | 2014.02.28 |
[스크랩] 암 걱정없이 식사하는 법 (0) | 2014.02.25 |